본문 바로가기

nosql

빅데이터를 친구로 만드는 첫 걸음, 바라보는 관점 바꾸기 ② 지난 글에서 짚어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HBase 기반의 Big Table System을 제시했는데요. 지금부터는 그 처방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조치된 빅데이터 처방 Redis와 HBase로 구성된 Data Caching System으로 Read 집중 문제를 해결하고 HBase만으로 구성된 Big Table로 Write 집중 문제를 해결합니다. ORACLE을 대치하지 않고 NoSQL과 RDBMS 각각의 장점을 융합한 Hybrid 구조입니다. Big Table은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글에서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l Fig. 1 개선 후 아키텍처 ① 데이터의 특성 시스템의 데이터는 공통 정보와 사용자 개인화 정보 그리고 개인화 이력 정보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통 정보는 Master .. 더보기
빅데이터 시대에 추구해야 할 상호 보완성 - 빅데이터 시대의 기업 정보 관리(2편) - 지난 시간에는 더 나은 제조 시스템을 위해 분산되고 분리된 데이터 베이스들과 개별 마스터 데이터들의 통합을 위한 'MDM(Master Data Management)'의 역할을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이어서 오늘 이 시간에는 빅데이터 시대에서의 MDM의 한계, 빅데이터와 MDM을 이어주는 새로운 형태의 MDM 방법, 실제 적용 사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 빅데이터 시대의 기업 정보 관리(1편) : http://blog.lgcns.com/934 지난 시간에 우리는 일반적인 MDM에서 정형화된 마스터 데이터들의 정합성과 일원화된 관리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품질’, 데이터들 사이의 ‘관계’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최근 기업이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들은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