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hub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해킹 사례 2017년 10월 3일 자 경향신문은 “가상화폐 ‘광풍’은 어디서 오는 걸까?”라는 제목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투자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가상화폐 열풍에 대한 기대와 걱정을 담은 기사를 게시했습니다. 기사의 도입부는 직장인 강모 씨(37)가 1만 원에 산 이더리움을 30만 원에 팔아 불과 1년 만에 8천만 원의 차익을 얻었다는 사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사는 한국 내 가상화폐의 인기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P2P(개인간) 대출, 크라우드 펀딩 등 새로운 금융투자 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그중 단연 높은 수익률로 이목을 끄는 것은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가상화폐이다. 특히 최근 1년 사이에 ‘광풍’에 비유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국내 3대 가상화폐 거.. 더보기
2017 LG CNS 블로그 Best Content Awards 어느덧 2017년을 마무리하는 시간입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LG CNS 블로그는 최신 IT 소식을 독자 여러분께 전달하고자 노력했는데요. IT 업계를 선도하는 LG CNS 소식을 비롯해 오픈소스, 금융 IT, 4차 산업혁명, 커넥티드카 등 다양한 분야의 IT 소식을 전달해 드렸습니다. 특히, 블로그에 대한 관심이 오프라인으로 이어져, 블로그 독자 초청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어 더욱 뜻 깊었던 1년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지난 1년을 되돌아보며, 독자 여러분이 가장 사랑해주셨던 콘텐츠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17 LG CNS 블로그 Best Content Awards, 지금 시작합니다. 2017 LG CNS 블로그 Best Contest.. 더보기
게임 속에 깊게 파고든 오픈소스 기술 한국 IT 업계에서 게임 시장은 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6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미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10조 원을 돌파했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게임을 만드는 기업과 개발자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복잡한 기술을 알아야만 했는데요. 요즘은 게임 엔진 덕분에 기술적으로 쉽고 빠르게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게임이 성장하면서, 게임 엔진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 한국에서도 큰 인기가 있는 언리얼(Unreal) 엔진, 유니티(Unity) 3D 그리고 코코스(Cocos) 2D-X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세 기술 모두 오픈소스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전세계 강력한 게임 엔진, 언리얼 엔진 언리얼.. 더보기
LG CNS Fun IT Quiz 이벤트 당첨자 발표 LG CNS Fun IT Quiz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앞으로도 독자 여러분께 더 많은 도움드릴 수 있는 LG CNS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벤트에 당첨된 행운의 주인공을 발표합니다. 가로 1번 문제 깃(Git)을 대중화하는 동시에 오픈소스 개발자들을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웹 서비스. GitHub 원문 보기 클릭 가로 2번 문제 4차 산업혁명 꿈나무 육성을 위해 LG CNS에서 시행하고 있는 무료 코딩교육 프로그램. 코딩지니어스 원문 보기 클릭 세로 1번 문제 보안을 고려하여 기능을 설계 및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시큐어 코딩 원문 보기 클릭 세로 2번 문제 초기 HUD는 항공기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였으나,.. 더보기
오픈소스 개발자의 단짝 친구 깃(Git) 그리고 깃허브(GitHub) 오픈소스 개발을 위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깃(Git)’이라는 서비스인데요. 특히, 깃을 기반으로 만든 깃허브(GitHub)는 전 세계 오픈소스 개발자들의 놀이터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깃과 깃허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깃과 깃허브에 익숙해지면 오픈소스 개발자로 입문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협업을 위한 소스코드 관리 도구 ‘깃’ 깃은 소스코드 관리를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리눅스를 만든 리누스 토발즈가 2005년 처음 만든 서비스인데요. 당시 그는 그가 개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친구들과 함께 만들기 위해 깃이라는 서비스를 고안했다고 합니다. 문서 작성을 생각해봅시다. 혼자 문서를 작성하면 문서에 어떤 부분이 수정되고, 삭제됐는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