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

스마트시티로 더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를!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이 도시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편리한 인프라 때문입니다. 그 인프라는 한 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스마트시티에서는 어떠한 지능형 인프라가 구현될까요? 거대한 도시 인프라를 손쉽게 관리한다 1862년 빅토르 위고가 쓴 소설 ‘레미제라블’에 보면, 주인공 장발장이 다친 마리우스를 업고 하수도를 통해 탈출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만큼 오래된 파리의 하수도 시설은 .. 더보기
LG CNS,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LG CNS가 ‘2017~2018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지난 2017년 첫 보고서 발간 이후 두 번째입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주주, 고객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경제•환경•사회 분야의 주요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소통하기 위해 제작된 보고서인데요. 이번 보고서는 최고의 IT 서비스 역량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Digital Innovation Leader’라는 기업 비전과 연계한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노력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AI, 빅데이터, IoT, 블록체인, 스마트시티, 클라우드, 스마트에너지 등 최첨단 IT 신기술 영역에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한 변화를 선도하는 LG CNS의 차별화된 전략을 소개했습니다. LG CNS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기후•에너지 문제에 친환.. 더보기
시민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행정 서비스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시티는 정부의 행정 서비스에 있어서도 새로운 질서(Governance)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새로운 행정 서비스들이 등장하여 시티를 보다 스마트하게 만들고 있을까요? 리빙랩으로 함께 혁신하다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는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 중 하나가 시민의 ‘참여’라는 것에 다른 이의가 없을 것입니다. 기존의 전자정부 서비스들도 참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을 했으나.. 더보기
스마트시티에 어울리는 건축물, 그린 빌딩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시티에 어울리는 건축물이 있다면 과연 어떤 건물일까요? 초고속 무선 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로 모든 것을 감지하고 인공지능으로 모든 것을 알아서 제어해주는 초고층 건물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이런 건축물이 친환경적으로 설계되어 탄소 배출량도 기존 건물보다 낮고, 유지 관리비도 적게 들어간다면 더욱 좋겠죠. l 그림 1. 2015년 전 세계 영역별 최종 에너지 소비율(2015년) (출처: UN.. 더보기
LG CNS, 글로벌 TOP5 ESS 사업자 선정 LG CNS가 최근 미국의 대표 경제 전문매체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이하 블룸버그)’에서 발간한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 기업 순위 보고서에서 글로벌 TOP5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전 세계 ESS 기업 중 상위 16개를 선정,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5년간의 ESS 구축 실적을 평가했는데요. 평가 결과 LG CNS는 일본 기업을 제치고 아시아 1위를 기록했으며, TOP10 안에 국내 기업으로는 LG CNS가 유일합니다. l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 선정 글로벌 TOP10 ESS 기업 1위를 기록한 이탈리아 업체 ‘니덱(Nidec ASI)’을 비롯해, 2위는 글로벌 최.. 더보기
전기를 아끼면 돈을 벌 수 있을까?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를 아끼면 그만큼의 전력 요금을 절약할 수 있음은 상식적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요금을 절약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낀 전기를 모으고 되팔아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요자원 거래 또는 수요 반응(Demand Response)이라는 제도인데요. 수요 반응은 소비자가 전기 요금 절감 또는 금전적 보상 등을 위해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행위이고, 수요자원 거래 시장은 전력 수요자가 아낀 전기를 판매할.. 더보기
ESS를 이용하여 휴대폰 요금을 면제 받는다면?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Bloomberg New Energy Finance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17년 신규 발전소의 44%가 태양광과 풍력이 차지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그 비율이 68%에 이를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의 근본적인 이유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이 이미 경제성을 갖췄기 때문입니다. l 연간 신규 설치되는 발전원별 설비용량(GW) (출처: BNEF) 화력, 원자력 발전보다 저렴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급격한 시장 확대 태양광, 풍.. 더보기
ESS, 새로운 발전소 없이 전력을 공급한다.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스마트시티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스마트 기기, 각종 정보통신 인프라, IoT 센서, 이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전기 에너지는 이 모든 것들을 활용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 작게는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해 그리고 크게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생활에 꼭 필요한 전자 제품들을 사용하기 위해 전기 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