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R

VR로 재활하고 약 대신 앱 쓰는 ‘디지털치료제’가 온다 최근 뇌 손상으로 인한 시야장애를 치료하는 가상현실(VR) 기반 디지털 치료제 뉴냅비전이 첫 임상 연구에서 승인을 받았습니다. 또한 호흡기 질환의 재활을 돕는 디지털 치료제와 노인성 질환인 근감소증 치료 앱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생명 연장은 모든 사람들의 꿈이죠. 이를 실현하는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치료제는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SW) 의료기기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통상 약이라고 하면 알약 등의 먹는 치료제를 떠올리죠.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SW를 기반으로 치료 범주가 확대됐습니다. SW를 활용한 의료기기라고 하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기 쉽지 않은데요. 많은 분들이 디지털 헬스케어와 디지털 치료제를 헷갈려 .. 더보기
스파이더맨이 눈앞에 나타난다! 디즈니의 이머시브 스토리텔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인근에 있는 디즈니랜드의 어벤져스 캠퍼스. 이 어벤져스 캠퍼스에서는 스파이더맨 복장을 한 스턴트맨과 로봇이 30분 단위로 쇼를 펼칩니다. 스턴트맨이 텀블링을 하면서 건물 안으로 사라지는데요. 곧이어 스파이더맨 로봇이 스턴트맨인 것처럼 건물 밖으로 나타난 뒤, 영화 속 스파이더맨인 것처럼 하늘을 날아다닙니다. 이 로봇 스파이더맨은 공중으로 몸을 날려 20m 상공을 날아올라 하늘에서 수 십 바퀴 공중제비를 도는데요. 보는 사람들이 탄성을 지릅니다. 묘기를 부리던 스파이더맨 로봇이 착지하고 나면, 이제 스턴트맨이 건물 밖으로 나와 사람들과 하이파이브를 하며 지나가는데요. 영화 이 현실 세계에 다시 태어나는 장면입니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The Walt Disney Compan.. 더보기
메타버스 속 신인류? 실제와 똑같은 디지털 휴먼이 온다 요즘 메타버스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를 정의하면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요소가 강화된 3D 콘텐츠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데요. 보다 넓은 의미로는 ‘증강된 현실 세계와 상상이 실현된 가상세계, 인터넷과 연결돼 만들어진 모든 디지털 공간의 조합’이라고 합니다. 초기 인터넷이 텍스트 중심이었다면 점차 사진이나 동영상이 가미되고, 이제는 3D 콘텐츠가 융합된 가상세계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 가상세계를 여는 키가 바로 메타버스인데요. 비록 가상세계지만 메타버스 안에는 경제 시스템과 세계관, 소셜 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가상 공간은 끝없는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여러 가지 거래와 창조, 자산 축적이 이뤄지고 현실과는 또다른 경제 활성화가 진행되죠. 특히 코로나19.. 더보기
VR부터 메타버스까지, 기술 품은 테마파크의 진화 날씨가 따뜻해지고 코로나 팬데믹 후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야외에서 일상을 즐기기 시작했습니다. 한동안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상점과 공간이 문을 닫았는데요. 특히 어려운 시기를 보냈던 대표적인 장소 중 한 곳이 바로 테마파크입니다. 입장객이 50% 이상 줄어들고 매출 역시 많이 감소했지만, 지난 2년간 테마파크는 다양한 최신 IT 기술을 연구하고 받아들이면서 변화를 꾀하고 있었는데요. 테마파크 공간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술은 물론 VR(가상현실) 기술 등을 활용해 온라인, 메타버스의 테마파크도 즐길 수 있습니다. 나들이나 소풍으로 누구나 한 번쯤 가본 경험이 있을 테마파크는 사실 엔터테인먼트의 집합체인데요. 테마파크는 단순히 즐거움과 재미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매우 고도.. 더보기
로봇과 촉감을 공유하는 ‘로봇 아바타’의 시대가 온다! 가까운 미래에 자신과 똑 닮은 로봇 아바타가 현실과 가상 공간을 넘나들고, 다른 로봇 아바타와 감정을 교류하며 상호작용하는 시대가 실현될 수 있을까요? 꿈같은 얘기처럼 들리지만, 요즘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메타버스 열기를 보면 이런 시대가 눈앞에 펼쳐질 날이 그리 머지않은 것 같습니다. 가상현실(VR)과 혼합현실(MR), 증강현실(AR)부터 융합현실 기술, 인공지능, 5G, 클라우드, 아바타 등 다양한 기술들이 결합하면서 로봇의 경계가 물리적 공간에서 사이버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2017년, 일본 자동차 메이커인 도요타가 휴머노이드 ‘T-HR3’를 공개했습니다. T-HR3는 사용자가 가상현실(VR)을 지원하는 헤드셋을 착용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입.. 더보기
이젠 로봇이 셰프가 된다? 현실로 성큼 다가온 ‘로보틱스 산업’ CES 2022에서는 로보틱스 기술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로보틱스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한 현대차그룹부터 가정용 로봇을 선보인 삼성전자까지, 여러 대기업이 미래의 로봇기술을 소개했는데요. 스타트업도 셰프나 식당 직원을 대체하는 로봇부터 VR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 하는 로봇, 인간과 비슷한 표정과 행동을 하는 로봇까지 다양한 로봇을 선보였습니다. 이 같은 기술의 등장이 의미하는 것은 점점 더 높아지는 인건비와 노동력 부족 현상을 로봇으로 해결하려고 한다는 점입니다. 과거에는 높은 가격으로 인해 현실적이지 못했던 로봇의 도입이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번 CES 2022에서 현대차그룹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직접 CES 2022에.. 더보기
메타버스 세계를 만드는 핵심 플랫폼, '유니티'와 '언리얼' 메타버스는 최근 가장 뜨거운 키워드입니다. 메타버스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하는데요. 우리에게 친숙한 ‘포켓몬 고’ 게임을 생각하면 메타버스의 모습을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최근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은 물론 많은 기업이 메타버스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겠다고 나서고 있습니다. 메타버스가 주목받으면서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아바타, 3D 게임, 디지털 트윈도 함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 수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로블록스나 마인크래프트, 제페토는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이 안에서는 가상세계에서 3D로 탄생한 캐릭터가 사용자를 반깁니다. 이곳에서는 가상세계에서 콘서트도 열리고 수업과 회의도 진행합니다. 페이스북은 아예 메타버스 기업이 되겠.. 더보기
헬스케어부터 재택근무까지! '몰입형 기술'이 만드는 VR트렌드 정신 건강 분야에서 VR이 사용된 역사는 짧지 않습니다. 90년대부터 군인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치료하는 데에 사용됐는데요. 다만, 더 많은 질병을 치료하기에는 환자의 몰입도가 낮다는 문제로 외면을 받았습니다. 충분한 데이터를 얻을 수도 없어서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연구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기도 했죠. 오늘날, 몰입형 기술의 발전으로 VR이 PTSD 외에도 공포증이나 불안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입증됐습니다. 더불어 알코올 및 약물 중독이나 우울증, 섭식 장애 등을 치료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죠. 단순히 시각 효과로 보여주는 것만 아니라 청각이나 촉각 등 다양한 감각 기술로 VR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쪽으로 연구 방향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환자에게 몰입 환경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