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M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고민된다면? 답은 ‘UXM’ 2편 지난 글에서는 UXM이란 무엇인지, UXM 아키텍처의 특징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UXM의 모니터링 방식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가시성 확보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UXM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이라는 점입니다. 특정 구간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지연이나 장애 발생 시 문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APM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맥락을 짚어 보면 차이는 분명합니다.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 UXM은 철저히 ‘사용자’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죠. UXM의 모니터링이 보장하는 가시성은 최종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을 평가하는데 유리합니다. UXM은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추적하고 분석하는데요. 사용자마다 느끼는 품질 수준을 파악하며, .. 더보기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고민된다면? 답은 ‘UXM’ 1편 최근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내부 시스템 자원 사용률 중심의 성능 모니터링만으로 부족함을 느끼는 이유는 분명한데요. 우선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되고, *IaaS, *PaaS, *SaaS 사용이 증가하면서 성능 측정의 사각지대가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통해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는 서비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많은 기업이 일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APM을 가장 먼저 떠올릴 겁니다. 하지만 APM보다 더 빠르게 적용해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안이 있습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비.. 더보기
"LG CNS UXM" 웨비나 사전등록하고 풍성한 혜택 받아가세요! IT서비스의 전 과정을 바라보는 제3의 눈, LG CNS UXM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6월 17일 목요일에 열립니다. UXM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이번 웨비나! 사전등록 신청하고 풍성한 선물도 받아가세요~ 글 ㅣ LG CNS 홍보팀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LG CNS Solution Day 2020으로 본 마케팅 뉴노멀 올해 2020년도 어느새 12월입니다. 2020년의 화두는 단연코 코로나19입니다.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 WHO가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한 이후 몇 차례의 확산과 거리두기를 경험하면서 코로나19와 함께 네 번째 계절을 보내고 있습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세계적인 이슈로 인해 우리의 일상은 물론이고, 비즈니스의 구조와 방향이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원고까지는 퍼펙트윈(PerfecTwin) 솔루션이 무엇이고, 어떤 유형의 비즈니스에 적용되어 어떤 Value를 제공했는지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원고에서는 퍼펙트윈(PerfecTwin)을 다양한 산업 및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더욱 확장하기 위해 수행했던 마케팅 활동의 사례를 최근에 진행한 ‘LG CNS Solution Day 2020’을 중심으로.. 더보기
LG CNS Solution Day 2020 콘퍼런스 안내 LG CNS Solution Day 2020Virtual Conference System 안전성 향상, IT 운영 비용 감소, 사용자 경험 Quality 증대, IT 서비스 가시성 확보LG CNS Solution Day에서 사례 중심으로 소개해 드립니다! [LG CNS Solution Day 2020 콘퍼런스 안내]● IT 테스팅의 새로운 기준, PerfecTwin수십 수백번의 테스트에도 불루하고 예상치 못한 장애에 곤욕스러우셨다면 LG CNS 실거래 자동 검증 솔루션으로 무결점 오픈 성공의 경험을 누려보세요.- SI, SM, 클라우드 전환, 인프라 교체 사업의 무결점 시스템 오픈 성공의 비결 ● 클라우드 시대 서비스 진단 및 IT 가시성 확보의 답! TunA-UXM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가 최적의.. 더보기
클라우드 인티그레이터(Cloud Integrator)의 역할은 무엇일까? 기업 고객의 클라우드 전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전통적인 IT서비스를 담당하던 SI, 아웃소싱, 컨설팅 사업자에게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흔히 클라우드라고 하면, 아마존웹서비스(AWS) 같은 글로벌 서비스 제공사나 통신사업자를 쉽게 떠올리지만, 기업 고객의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서는 이들 IT서비스 사업자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등 글로벌 선도 클라우드 업체들도 과거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고객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것과 달리, 최근에는 전통적인 엔터프라이즈 기업을 클라우드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고객 입장에서도 이제는 더 이상 클라우드를 학습의 대상으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