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TE

IoT 시대, Trillion Sensor로 본격화된다 최근 IT, 전자 산업의 주요 하드웨어 산업의 경쟁은 센서를 활용한 기능 및 UX 경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뿐만 아닌 시계, 밴드형 다양한 웨어러블(Wearable) 기기들은 사용자의 운동량, 심박 수 등 생체 정보를 센서를 통해 수집해 스마트폰이 기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센서를 활용한 서비스 특화 디바이스들의 출시로 인해 IT 기술을 활용한 산업 영역이 의료, 교육 등으로 빠르게 확산함에 따라 IoT(Internet of Things) 시대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센서 분야의 주요 기업, 연구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세미나인 ‘Trillion Sensors Summit’에서는 센서 분야에서 20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 더보기
시작된 5G 시대, 어떤 미래를 보여줄까? 5세대 이동통신, 5G 시대가 열렸습니다. 5G는 4차 산업혁명이 만들어낼 혁명의 결과물이 가장 안정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통신 고속도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의 3가지 특성을 앞세워 혁명적인 생활의 변화를 끌어내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산업과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를 보여주게 될까요? 변화 1. 자율주행차가 삶의 변화 이끈다 5G는 자율주행차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지금 LTE는 한국에서 지구 반대편으로 신호를 보내면 위성을 타고 전달되는데 0.1초 정도 걸립니다. 하지만, 5G는 0.001초 만에 전달됩니다. 이처럼 빠른 전송 속도는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확보해주게 됩니다. 5G는 자율주행차들이 달릴 때 도로 상황을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파악해 내비게이.. 더보기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혁신 사례 컴퓨팅 하드웨어 제조사인 NVIDIA는 자사의 GPU 제조 역량을 활용해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GPU는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구현 시 컴퓨팅 속도 및 성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이러한 역량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다양한 산업 영역 중 자율주행 시장에 집중하며 기술 혁신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NVIDIA의 자율주행 자동차 NVIDIA는 자사의 GPU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이를 플랫폼으로 공개해 자율주행 분야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실제 NVIDIA는 딥러닝 기반의 자율주행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자사가 개발한 자율주행 차량의 데모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데모 영상에서 NVIDIA가 개발한 자율주행 자동차는.. 더보기
챗봇을 넘어 음성봇으로 이번 글에서는 AI 스피커로 시작되어 업계에 큰 관심을 받는 음성인식 기술 기반의 음성봇(Voicebot) 구조를 챗봇 구조와 연계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음성봇과 챗봇은 닮은 점이 많다? 앞서 챗봇의 구조는 대화 의도(Intent)를 추출하는 것과 의도 속에 담긴 중요한 개체(Entity)를 추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챗봇에서 AI 기술은 사용자의 수많은 대화 방식 속에서 사용자 의도와 개체를 정확하고 빠르게 추출하는 데 활용이 되는 것이죠. 물론 추출된 의도와 개체로 주문이나 예약, 고객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화 흐름을 코딩이나 별도 운영 툴(Tool)을 이용해서 구현해야 합니다. l 챗봇의 일반적 구조로 의도 추출-개체 추출-시나리오가 주 구성 요소이다. 그렇다면 .. 더보기
모든 사물과 사람을 잇는 IoT 플랫폼, INFioT 최근 많은 IT 업체나 기기 제조사, 디바이스 제조사 등이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발표하며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기존의 PC나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OS와 앱, 그리고 대응 하드웨어 등을 총칭해서 말하는데요. IoT에서 플랫폼은 어떤 것일까요? IoT는 4차 산업혁명에서 지금까지 데이터화할 수 없었던 영역을 데이터화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그 진가가 빛납니다.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물리적 형태와 데이터를 가상 세계에 동일하게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필수 요소로 LG CNS의 IoT 플랫폼, INFioT(Infinite IoT, 인피오티)가 있습니다. INFioT는 Infinite(무한한)와 IoT 합성어로, 우리 회사의 무한한 가능성과 기술.. 더보기
소물인터넷의 새로운 시작, NB-IoT IoT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많은 IT 회사들이 IoT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IoT 기능을 탑재한 가전제품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는 IoT 기술을 활용한 기존 프로세스 개선 및 신규 서비스 적용 사례들이 나오면서 IoT 시장을 확장해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대만큼 IoT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IT 사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였지만, 현재 IoT로 불리는 서비스 대부분은 기존 M2M(Machine To Machine) 서비스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기존 M2M의 적용 범위가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되었을 뿐이며, IoT 그 진정한의 의미인 다양한 사물이 인터넷이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모아 분석.. 더보기
빅데이터로 실시간 장애감지 및 분석까지! 지금까지 빅데이터에 대한 화두는 주로 데이터 분석으로 시장에 대한 새로운 혜안을 얻거나,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불가능해 보였던 인간의 고유한 영역을 구현하는 것에 집중되었는데요. 오늘은 조금 포커스를 바꾸어 기존에 있던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금융, 통신, 유통 등 우리 주변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인터넷 망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은 이제 언제 어디서든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것에 익숙해졌고, 자연스레 서비스의 안정성은 당연한 것이 되었습니다. 이는 수 년간 문제없이 운영되던 서비스라도 찰나의 시스템 장애 때문에 신뢰를 잃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몇 년 전 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