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T 보안

고민되는 팩토리 보안 어떻게 해야 할까? 작년부터 많은 고객 그리고 전문가 그룹 내에서 화두가 되었던 질문이 “공장 보안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는 것이었습니다. 최근 제조업의 혁신을 가져올 스마트 팩토리가 국내•외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이 시점에 대다수의 제조업 고객은 생산, 제조에 스마트 기술의 도입과 함께 기존 및 신규 생산 공장에서의 보안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하는 고민을 깊게 하고 있습니다. 사실 IT 중심의 보안컨설팅 업무를 수행해 온 대다수의 보안 전문가들에게도 제조업 혁신을 가져올 Smart Factory 보안, 그리고 기존의 Legacy Factory 보안은 골치 아픈 숙제이기도 했습니다. 작년에는 시기적으로 공교롭게도 워너크라이 및 변종 악성코드로 인해 다수의 글로벌 제조 기업에서 생산 중단 사고가 발생하며 스마트 팩토리에 .. 더보기
ICS 보안에 대한 이해와 약점, 대응 방안 산업 제어 시스템은 흔히 ‘ICS (Industrial Control System, 산업 제어 시스템)’라고 부릅니다.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취득(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을 뜻하는 SCADA와 붙여 ‘ICS/SCADA’로 통칭하기도 하며, 정보통신기반 보호법은 이를 국가안전보장•행정•국방•치안•금융•통신•운송•에너지 등의 업무와 관련된 전자적 제어•관리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ICS/SCAD 보안 위협 및 사례 국내에서도 이미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 해킹으로 ICS 보안 위협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있습니다. 망 분리 및 최신 보안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진 한수원의 원자력 관련 내부망이 해킹되어 당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고, 북한과 대치 중인 우.. 더보기
현실화된 IoT 보안 위협, ‘우리 집 스마트 기기가 위험하다!’ 2016년 10월 글로벌 DNS 서비스 업체인 다인(Dyn) 사에 대한 공격으로 트위터, 넷플릭스, 레딧, 스포티파이, 박스, 핀터레스트, 페이팔 등 미국의 유명 인터넷 서비스와 정부 기관의 웹사이트가 접속 장애를 일으켰습니다. 사용자 밀착형 SNS와 Global 서비스의 마비를 초래한 이 공격은 IoT 기기의 보안 취약성을 이용해 대규모 좀비를 만들어 인터넷 주소를 제공해주는 DNS 서비스를 마비시킨 사상 초유의 공격이었습니다. 사실 이러한 공격에 사용된 기기는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무선 공유기였으며, 초기의 기본 암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취약점을 통해, 다양한 H/W, OS에서 동작하는 IoT DDoS Agent의 원격 조정을 통해 공격이 이루어진 사례입니다. 이러한 다인(Dyn) 사의 서비스를.. 더보기
LG CNS, IoT 보안 강화 본격화 LG CNS가 IT 서비스 업계 최초로 IoT 국제표준 인증을 획득한데 이어 IoT 보안 강화에 나섰습니다. LG CNS는 최근 서울 여의도 LG CNS 본사에서 보안솔루션 전문업체 (주)아이씨티케이(ICTK)와 IoT 보안표준기술사업(PUF)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IoT 보안관리서버 및 기기보안모듈에 PUF칩을 적용하는 연동 개발에 착수합니다. PUF(Physical Unclonable Function) 기술은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이미 인정받고 있는 보안 표준 기술로, 중요 데이터를 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Key값과 같은 중요데이터 자체를 암호화함으로써 보안 취약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합니다. l LG CNS는 IoT 보안 강화를 위해 (주)아이.. 더보기
IoT 보안 위협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IT 기술의 발전으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는 이제 우리의 일상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IoT와 가까워짐과 동시에 함께 찾아온 것이 있는데요. 바로 'IoT 보안 문제'입니다. 사실 보안 문제는 비단 IoT 영역의 문제는 아니지만, 특히 IoT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그 해결책 또한 함께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IoT 보안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대책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멀게만 느껴지던 해킹이 우리 생활 속까지 파고 들어 가전제품이나 자동차까지도 해킹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스마트 냉장고가 해킹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기사가 실려 화제인데요. 냉장고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중간자 공격이 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