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PR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안동향] 개인정보 해외 이전, ‘이것’만 체크하면 걱정 끝! 2편 지난 글에서는 CBPR(Cross Border Privacy Rules)의 장점과 함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CBPR은 ‘국경 간 프라이버시 규칙’이라는 의미로, 회원국 간 데이터 활용을 장려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 자율인증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CBPR과 ISMS-P(개인정보 보호관리체계 인증제도)의 차이점과 CBPR 인증 심사 절차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증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CBPR은 개인정보 항목만 다루고 있습니다. ISMS-P에서 개인정보 관련 부분이 CBPR과 유사한데요. 실제로 CBPR을 신청할 때 ISMS-P 획득 여부를 기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CBPR 인증기준이 ISMS-P 보다 낮기 때문에 ISMS-P 인증기업이라면 CBPR도 어렵지 않게 인증 받을 수 있는데요, 인.. 더보기 [보안동향] 개인정보 해외 이전, ‘이것’만 체크하면 걱정 끝! 1편 CBPR(Cross Border Privacy Rules)은 ‘국경 간 프라이버시 규칙’이라는 의미로, 회원국 간 데이터 활용을 장려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자율인증제도입니다. CBPR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체계 개발에 고려해야 할 국제 원칙과 지침으로 USMCA(US-Mexico-Canada Agreement,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SADEA(Singapore-Australia Digital Economy Agreement, 싱가포르-호주 디지털 경제 협정)에 포함됐는데요. 국경 간 데이터 이전에 CBPR의 효율성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은 CBPR보다 높은 요건으로 국경간 이전과 관련해 개인정보 보호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