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Web Service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CSP)와 그 특징은? 클라우드로 전환을 결심하고 나면 기업은 다양한 질문과 고민거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기업들이 먼저 하게 되는 질문은 ‘어떤 CSP(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를 선택할 것인가?’하는 질문입니다. 이때 어떤 판단을 내리느냐에 따라 작게는 ‘지출의 효율성’에서 크게는 ‘클라우드의 활용 수준’까지 달라집니다. 따라서 선택을 할 때는 각 CSP의 특징을 잘 파악하고, 회사의 클라우드 전략과 맞는 CSP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CSP에는 어떤 회사들이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일까요? 그 부분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CSP란 무엇인가? 클라우드는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와 공공 클라우드(Public Cloud) 두 가지 종류로 나눌.. 더보기 Trillion Sensor 시대의 Value-Chain 별 기업 동향은? 다양한 분야의 IT 기업들은 5~10년 이내 Trillion Sensor 시대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Trillion Sensor 시대 기업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바이스 그동안 스마트폰, 태블릿 분야에서는 최신 모바일 OS와 고성능 하드웨어 탑재 등과 같은 성능 위주의 스펙이 주된 경쟁의 핵심이었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OS의 성능이 점차 안정화, 평준화되어 가며 고성능 프로세서 등을 통해 제공되는 컴퓨팅의 속도 향상이 사용자 체감 성능에 더 이상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디바이스 차별화를 위해 신규 센서, 혹은 기존 센서를 S/W 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기능 및 UX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활용한 인증 및 결제.. 더보기 AWS 환경에서 ISMS 인증 준비하기 국내외 다수 기업이 AWS를 인터넷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고, ISMS 인증 시 클라우드 환경도 인증범위에 포함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2006년 아마존이 AWS(Amazon Web Service)를 출시한 이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규모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대외 서비스 부분에 AWS나 MS 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용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터넷 서비스 인프라의 일부 또는 전부를 AWS 환경에서 구성한 경우에 AWS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능을 활용해 ISMS 통제요건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2017년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18% 성장 전망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지난 10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해왔으며,..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