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필먼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커머스의 핵심 넥스트 풀필먼트, 어떻게 구현해야 할까요? 지난 글에서는 이커머스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다양한 유형의 풀필먼트 센터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풀필먼트 센터의 네트워크화와 물류 현대화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객의 주문 형태와 품목이 다양해지고 주문의 양도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단일 형태의 풀필먼트 센터 운영 전략으로는 지속적인 고객 가치와 수익 창출에 한계가 생겼습니다. 물리적인 보관 면적과 배송권역의 시간적인 제약도 극복하기 어려워졌죠. 이에 유형별 풀필먼트 센터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형태의 '풀필먼트 Network'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이에 대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풀필먼트 센터가 가진 온오프라인 인프라를 권역화하고 네트워크를 연계할 경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효율적인 센터 운영이 .. 더보기 이커머스의 새 시대를 여는 ‘넥스트 풀필먼트’는 무엇? 풀필먼트의 일반 사전적 의미는 이행, 수행, 완수입니다. 이는 고객의 온라인 주문 처리로 확장해서 해석되기도 합니다. 아마존은 1999년에 단순 배송 개념의 물류를 넘어 이커머스 고객의 주문 모든 과정을 수행하는 센터로 풀필먼트 센터를 소개했는데요. 여기서 고객의 주문요청에 따른 처리 과정을 의미하는 정의가 새롭게 생겨난 것에 풀필먼트는 기인합니다. 즉, 이커머스에서의 풀필먼트란 고객의 온라인 주문에 맞춰 물류센터에서 상품을 찾고 포장하고 배송하는 전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현재 아마존의 경우, 미국 내 약 110개, 전 세계에 185개의 풀필먼트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마켓컬리 김포센터, 이베이 동탄 센터, SSG.com Neo 3 센터 등 온라인 주문 대응을 위한 물류 설비에만 500.. 더보기 '데이터'가 지갑을 연다! 초개인화 시대의 쇼핑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현황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업무 환경은 더욱 복잡해졌고, 방대한 데이터 처리나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그리고 디지털 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는 Digital Transformation 등 오늘날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혁신에 더욱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융복합 산업이 등장하고 그에 따른 기업 가치 사슬(Value Chain)이 재조합되면서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험(Experience)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도 관건입니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비대면•비접촉(Untact) 환경은 우리 경영 환경의 모습을 많이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LG CNS Entrue 컨설팅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고객 경험을 활용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