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카오톡

거대한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메신저 세상 많은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중 하나는 메신저입니다. 문자로 대화를 전달하던 메신저는 이제 하나의 플랫폼으로 발전했습니다. 인터넷 시대에 웹에서 주로 사용하던 인스턴트 메신저는 모바일 메신저로 옷을 갈아입으면서 더 많은 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진과 영상 전송은 물론, 송금도 가능하고 기프티콘 같은 선물도 보낼 수 있습니다. 메신저는 금융, 미디어, 게임 등 여러 산업에 활용되면서 기술과 비즈니스의 진화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메신저의 탄생은 인터넷 기반의 인스턴트 메신저입니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1990년대 후반에 등장했습니다. AOL, MSN 등 수많은 메신저가 등장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열었습니다. 당시 국내에서도 타키, 네이트온, 버디버디 등 다양한 메신.. 더보기
디지털 금융과 고객 경험(上)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현황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업무 환경은 더욱 복잡해졌고, 방대한 데이터 처리나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그리고 디지털 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는 Digital Transformation 등 오늘날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혁신에 더욱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융복합 산업이 등장하고 그에 따른 기업 가치 사슬(Value Chain)이 재조합되면서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험(Experience)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도 관건입니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비대면•비접촉(Untact) 환경은 우리 경영 환경의 모습을 많이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LG CNS Entrue 컨설팅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고객 경험을 활용해.. 더보기
중소형 고객사를 위한 메시지 플랫폼 '톡드림' 알림톡 1위 사업자인 LG CNS는 최근 중소형 기업 고객 대상으로 간단한 절차를 거치면 개발 없이 발송이 가능한 메시지 서비스인 ‘톡드림’을 오픈했습니다. ‘톡드림’에서는 카카오톡 기반의 알림톡과 SMS, LMS 같은 일반 이동통신사 문자를 발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저 비용으로 최고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업무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LG CNS에서 중소형 기업 고객 대상으로 한 선불 방식의 메시지 플랫폼을 오픈하게 된 배경은, 카카오톡 알림톡 비즈 메시지 서비스가 대형 고객사를 대상으로 1:1 영업을 통해 제공되다 보니 중소형 기업 고객은 카카오톡 알림톡 비즈 메시지의 다양한 장점과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했었죠. 이에 저희는 카카오톡 알림톡 서비스를 중소형 기업 고객까지 .. 더보기
챗봇은 산업을 뒤흔들었을까? ‘카카오톡 채팅으로 홈쇼핑 주문 서비스를 만들어볼까?’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2015년 봄. 그 당시까지만 해도 기업이 메신저를 이용해서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서비스를 만든다는 게 생소했고 그렇게 주목받지 못했던 기억이 납니다. 챗봇(Chatbot)이라는 용어도 쓰이지 않았죠. 3년이 흐른 지금 어떤가요? 이제 일반인들도 챗봇이라는 단어를 이해할 만큼 일반명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챗봇이 범용적인 용어가 되는 데는 한때 산업계를 휩쓸었던 챗봇 열풍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챗봇(Chatbot)은 기대만큼 산업을 뒤흔든 기술이었을까? 챗봇이라는 용어를 전 세계에 확산시킨 동력은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입니다. 그는 2016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개발자 회의 ‘F8 2016’에서 페이스북 미래의 키워.. 더보기
서비스 운영 경험으로 본 챗봇 LG CNS의 톡 주문 서비스가 벌써 첫 돌을 맞이합니다. 2015년 11월 19일에 GS SHOP을 통해 세상에 태어났는데요. 이후 GS SHOP의 카탈로그 책자 상품 주문에 이어, CJ오쇼핑에는 실시간 방송, 카탈로그 상품, T커머스 상품에 고객센터 기능까지 확장하여 대표적인 대화형 커머스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LG U+에서 통신사 최초로 아이폰7 예약 판매 접수를 카카오톡의 챗봇 으로 받았습니다. TV 홈쇼핑 상품을 주문할 때 ‘채팅으로 홈쇼핑 상품을 주문하고 카카오페이로 결제할 수 없을까?’로 시작된 아이디어가 톡 주문을 기획하게 된 시작점이었습니다. 그땐 챗봇이라는 개념까지 생각하진 못했습니다. 그저 전화주문 보다 더 편하게 만들 수 없을까라는 생각만 했었죠. 1년 반이 넘는 시간 동안.. 더보기
챗봇으로 만든 대화형 커머스 '톡 주문' 챗봇(ChatBot) 3편에서는 챗봇을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자동화된 대화형 커머스 서비스를 구현한 LG CNS의 톡 주문 서비스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LG CNS는 '톡 주문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작년 11월 19일에 GS SHOP을 통해 채팅 방식으로 완전히 자동화된 주문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모바일 메신저 챗봇이 주목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채팅으로 TV 홈쇼핑 상품을 주문한다는 개념이 매우 생소했었죠. 필자 또한 백엔드 시스템에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상품을 주문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확신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구현 가능하다면 세상에 둘도 없는 이 독특한 서비스를 세상에 내놓고 싶었습니다. 필자가 채팅으로 TV 홈쇼핑 상품을 주문하는 서비스를 발상하.. 더보기
챗봇, 이렇게 활용할 수 있다! 1편에서 챗봇(Chatbot)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번 편에서는 실제 챗봇을 이용해 구현한 서비스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챗봇이 이슈가 되면서 각종 언론에서는 해외 사례를 많이 언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도 카카오톡 챗봇API(자동응답 API)를 이용해 미디어, 금융, 유통, 가전 등 다양한 업종에서 서비스를 구현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챗봇은 기존 PC 메신저에서도 존재했던 API 기술이었기 때문에 챗봇을 활용한 서비스 사례들이 제공되고 있었죠. 다만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은 탓에 챗봇이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서는 국내에서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챗봇 서비스 사례 위주로 정리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 더보기
모바일 메신저 '챗봇(Chatbot)'이란 무엇일까? 커머스(Commerce)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주문과 결제 채널일 것입니다. 구매 고객이 쉽고 빠르게 상품을 주문하고 결제할 수 있도록 커머스 사업자들은 끊임없이 주문 채널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죠. 작년에 간편 결제가 큰 화두가 되어 너도나도 간편결제 서비스를 출시한 것도 쉽고 빠른 결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의지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커머스의 핵심! 주문 채널은 진화한다 그래서 주문 채널은 역사적으로 꾸준히 진화해 왔습니다. 스마트폰과 신용카드가 없었던 시절에는 매장에서 고객과 판매자가 직접 만나서 거래하는 대면 주문만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 수단이 보급되면서 직접 만나지 않고도 전화나 온라인을 통해 상담원이 주문을 받는 방식의 비대면 주문 채널이 나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