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입통제

[융합보안] 스마트폰 하나면 출입•결제 '뚝딱' , 모바일ID 만능시대 ‘회사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바로 목걸이 끈과 플라스틱 케이스로 대표되는 사원증입니다. 회사에 입사해 처음 사원증을 목에 걸던 설렘도 잠시, 사원증은 자꾸 가방에서 빠져나와 몇 번이고 우리의 바쁜 출근길을 되돌리는 애물단지가 되곤 하는데요. 목에 거는 사원증 대신 스마트폰이 사원증을 대신한다면 사원증을 따로 챙겨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요? 각종 플라스틱 신용카드들이 모바일로 통합되고 있는 지금, 출입카드 또한 모바일로 통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출입카드는 이동시 스마트폰 하나만 챙기면 된다는 편리함과 동시에 다양한 장점이 있는데요. 출입카드 발급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실된 출입카드를 타인이 습득해 사용할 수 있다는 기존 출입카드가 지닌.. 더보기
[융합보안] 가용성과 비용이 고민? 차세대 출입 통제 솔루션 '주목' 출입 통제 수단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증을 태깅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요즘에는 지문, 홍채, QR, 정맥, 안면 그리고 몸무게 감지 등 다양한 인증매체가 꾸준히 추가되고 있습니다. LG그룹에서도 이와 같은 인증매체를 지속해서 추가하고 있죠. 출입 통제를 진행하는 위치(Location)도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건물 1층 주 출입구나 보안 구역에서만 출입 통제가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건물 내 거의 모든 사무실을 대상으로 출입 통제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 됐는데요. LG 그룹에서도 출입 통제 위치가 꾸준히 늘어나 현재 약 1만여 대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운용되고 있습니다. 즉, 인증매체뿐만 아니라 인증단말기도 다양해지고 그 개수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 더보기
[융합보안] 보안걱정? 이제 ‘PSIM’에 맡기고 맘편히 휴가가세요! 대규모 공장과 빌딩, 스마트 시티가 생겨나면서, 관제와 관리의 범위가 광역화되고 있습니다. 국내와 해외에 사업장이 분산된 사이트를 원격으로 통합해 관리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죠. 재난과 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도 점차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산업 보안은 기업의 손실을 넘어 국익과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이기에, 보안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안전관리, 출입통제, 물리보안, 영상관제 등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목적별로 시스템이 분산돼 불필요한 자원이 많아졌는데요. 이로 인해 시스템 간 데이터 전달이 어려워서 이상 상황이나 사고 발생을 조기에 확인하지 못하는 등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융합.. 더보기
“마스크 착용한 분만 문 열어 드립니다” LG CNS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서울 마곡 본사 일부 출입 게이트에서 ‘AI 얼굴인식 출입통제 서비스’를 활용, 마스크를 착용한 임직원만 통과시키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눈, 코 주변 생김새를 집중적으로 분석해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 AI 얼굴인식 기술로 직원 신분을 판독함과 동시에 마스크 착용 여부도 판단하는데요.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턱이나 입에만 걸치는 경우를 모두 분석해 "마스크를 착용해 주세요(Please wear a mask)"라는 문구를 띄우고 게이트를 열어주지 않습니다. 열 감지 기능을 추가해 체온이 37.3도 이상이면 입장이 불가합니다. 마스크를 완벽하게 착용하고 정상 체온인 경우에만 출입 게이트를 열어주고 있습니다. l AI가 임직원 얼굴을 분석해 마스크를 쓰지 않거나 입에.. 더보기
생체 신호를 이용한 텔레바이오 인식, 어디까지 왔나? 전통적으로 바이오 인식 기술은 출입국심사, 출입통제, 행정(무인 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 찾기, 복지 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 PC, 인터넷 인증),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 인출, 모바일 결제) 등 여러 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아래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지급 결제 서비스, ATM 인출기, 인터넷전문은행 등과 같은 핀테크 분야에서 비대면 인증 기술로 모바일 바이오 인식 기술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위조지문 등 기존의 신체적 특징(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 외부)을 이용한 바이오 인식 기술의 위변조 위협에 대한 우려가 존재함에 따라 뇌파, 심전도, 근전도,.. 더보기
바이오 인식 기술의 과거, 현재와 미래 바이오 인식 기술(Standardization for Biometrics)은 사람의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또는 음성, 서명, 자판, 걸음걸이 등 행동적 특징(Behavioral characteristics)을 자동화된 IT 기술로 추출•저장해 다양한 IT 기기로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기술입니다. 전통적으로 바이오 인식 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 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 근태관리), 행정(무인 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 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 인증, PC, 인터넷 로그인),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 인출) 등 여러.. 더보기
당신의 출입카드는 안녕하십니까? 당신의 출입카드는 안녕하십니까? 오늘도 여러분은 자신의 출입카드를 카드리더기에 대고 사무실로 들어오셨을 겁니다. 하지만 지난 밤에 누군가는 당신의 출입카드를 복제한 카드로 당신 사무실에 출입했을 수도 있습니다. '이게 무슨 이야기야?'하며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기사를 한 번 보시죠. 가짜 출입증에 3중 보안망 '뻥뚫린' 정부청사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10/14/0200000000AKR20121014080900004.HTML 사실 이렇게 출입카드가 복제 가능하다는 이야기는 과거에도 많이 나왔지만, ‘정말 가능해?’라고 생각하셨을텐데요. 어떻게 복제가 가능한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카드 복제? 어디까지 해봤니? 카드 복제는 어떻게 되는 것이고, 복제된 카드로.. 더보기
출입카드 복제 문제를 통해 살펴 본 카드 보안 대응방안 지금 여러분의 지갑에는 몇 종류의 카드가 있나요? 그리고 오늘 그 카드를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하셨나요?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카드…편리함만큼 보안 위험 또한 크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LG CNS와 함께 하는 보안컨설팅 A to Z’ 첫번째 연재로 [출입카드 복제 문제를 통해 살펴본 카드보안 대응 방안]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거의 매일 카드를 사용하시죠? 먼저 우리가 사용하는 카드의 유형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카드는 크게 ‘MS(Magnetic Stripe)카드’와 ‘칩(Chip)카드’로 나뉩니다. MS카드는 카드 뒷면에 자기 성질을 띈 검정띠에 가입자의 정보가 기록된 카드로, 예전부터 신용카드, 현금카드, 포인트카드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IC(Integrated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