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보호공시

[보안동향] ‘정보보호 공시’ 분석부터 작성까지 한 번에 끝내세요! 지난 글에서는 정보보호 공시 개요와 대응 업무 절차, 정보보호 공시 준비 자료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보호 공시 자료 분석 및 작성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보보호 공시 투자 영역 집계는 자산 대장과 비용 원장을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합니다. 아래는 분석과 관련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가이드와 공시 실무교육 자료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앞에서 언급한 기본적인 분류 기준 방안을 기반으로 아래 세부 항목별 작성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산 분류, 집계와 관련해 KISA 가이드 및 추가적인 질의를 통해 확인한 내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인 경우 운영기술(OT) 영역의 다양한 장비가 있는데요. KISA에 문의한 결과 산업용 소프트웨어는 정보 기술로 분류해 반영.. 더보기
[보안동향] 정보보호도 ESG!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지난 글에서는 정보보호 공시 배경과 정보보호 관련 ESG 동향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보호 공시 개요와 함께 대응 업무 범위 및 수행 절차를 살펴보겠습니다. 정보보호 공시는 아래의 의무 대상 기업이 정보보호 투자액, 인력, 정보보호 인증, 정보보호 활동을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보보호 공시 진행 시에 회계법인 또는 감리법인을 통해 정보보호 공시 사전 점검자료를 제출한 후 공시하는 경우에는 사후 검증 면제의 혜택이 제공됩니다. 사후 검증의 경우, 공시 후 제출 기업 중 20%의 표본 기업을 대상으로 제출한 공시 내용에 대한 사후 점검을 수행합니다. 제출 기업의 정확한 공시 작성은 물론 제출된 공시 자료를 검증해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는 검증 절차상의 단계입니다. 다수의 기업이 전문.. 더보기
[보안동향] 이것도 ESG? 이젠 ‘정보보호 공시’도 챙겨야 할 때! 정보보호 공시제도는 2021년 처음으로 시행됐습니다.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공시의무대상 기업은 작년 6월 30일 전까지 정보보호 투자/인력/인증/활동 현황을 공시시스템상에서 의무 공시를 하게 됐습니다. 제도가 시행되기 전인 2016년부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는 사전 정보보호 공시 모의 수행 및 검증 지원 사업을 진행해 왔는데요. 정보보호에 대한 객관적인 기업의 투자와 정보보호 활동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이용자에게 기업 신뢰도 평가와 이용자 보호를 위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받아 평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최근 ESG 경영과 기업의 ESG 평가에 국내외 정보보호 항목이 포함됐습니다. 기업 경영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변수로 정보보호 투자 및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