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편에서 분석결과를 정리하는 예시 여러 가지를 설명해 드렸습니다. 모든 내용을 숙지하시는 것이 좋겠지만, 딱 하나만 기억해야 한다면, X-Y차트(4사분면) 분석을 훈련하고 내재화하실 것을 권합니다.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원래는 X-Y차트가 아니고,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라고 하는데요. 이의 확장 개념으로 쉽게 이해하고 기억하실 수 있도록 X-Y차트(4사분면) 분석이라고 제가 명명을 했었습니다. IPA 분석은 아래 그림처럼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해 ‘만족도’와 ‘중요도’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l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개념 만족도와 중요도는 각각 여러 개의 Attr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