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보안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보보호 관련 인증 및 평가 제도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보안관련 인증•평가 제도 중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대표적인 제도가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인증제도입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국내에서 운영 중인 보안 관련 인증•평가 제도가 여러 개가 있고, 각 제도 별로 유사한 부분이 많아 혼란스러운 점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현재 운영 중인 대표적인 보안 관련 인증•평가 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안관련 인증제도 현황 5~6년 전까지만 해도 보안과 관련된 인증제도를 준비한다면 'ISO 27001을 준비할까? 아니면 ISMS를 준비할까?' 정도의 고민을 했는데요. 두 제도 모두 정보보호 관점에서 관리체계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고 인증해 주는 제도입니다. ISO 27001이 국제.. 더보기 ISMS 인증 주요 결함항목 및 대응방안 지난 시간까지 ISMS 인증에 대한 소개 및 보안솔루션 구성방안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ISMS 인증심사 과정에서 자주 나오는 주요 결함항목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번 시간에는 인증심사 시 발견되는 주요 결함항목들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보완조치를 위해 어떤 대응방안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ISMS 인증 심사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SMS의 인증심사 기준은 정보보호 5단계 관리과정 요구사항 12개 통제항목, 정보보호대책 13개 분야 92개 통제 항목 총 104개 통제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요 결함항목은 매년 인증심사에서 도출된 결함을 정리•분석하여 도출되며, 차년도 인증심사에 활용 및 인증기준 개정 시 반영되는 중요한 항목들입니다. 따.. 더보기 ISMS 인증을 위한 보안솔루션 구성방안 ISMS 인증을 받으려면 어떤 보안솔루션을 구축해야 할까요? 2015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ISMS 인증 대상이 매출 또는 세입이 1,500억 원 이상인 기업과 기관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웬만한 규모의 기업과 기관들은 모두 보안을 소홀히 할 수 없도록 법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데요. 여러분이 속한 곳도 지금은 ISMS 인증 대상이 아닐지라도 추후에는 ISMS 인증 대상이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ISMS 인증을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보안을 위해서 지켜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어떤 보안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지 미리 알아둔다면 향후에 보다 쉽고 안전하게 여러분의 기업과 기관을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SMS에서 요구하는 각 항목에 대해 어떤 보안솔루션을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