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픈소스 블로그 기술의 새 바람! 정적 페이지란? 블로그 하면 떠오르는 기술들이 있습니다.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브런치처럼 콘텐츠만 추가해서 이용하는 블로그가 있는가 하면 워드프레스(Wordpress), 윅스(Wix), 드루팔(Drupal)처럼 홈페이지를 직접 구축하면서 운영하는 CMS 기반 블로그도 있죠. 여기에 몇 년 사이에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술이 있으니, 바로 정적(Static) 사이트 기반 블로그 기술입니다. 최신 웹 개발 흐름을 잘 반영하면서도 관련 오픈소스 기술들이 다양하게 등장하면서, 이 시장은 점점 커지는 추세인데요. 오늘은 정적 페이지 관련 오픈소스 기술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정적 페이지 중심의 웹 개발구조, 잼(JAM)스택 과거 웹 기술을 논의할 때 개발자들은 ‘램(LAMP)스택’ 혹은 ‘민(MEAN)스택’ 같은 단어를 사용했.. 더보기 집밥의 힘? 재택근무로 급성장한 오픈소스 개발 코로나19 이후 우리 삶은 기존과 많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중 직장 생활의 관점에서 보자면 재택근무와 온라인 기반 소통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죠. 누군가에겐 낯선 이 변화가 사실 오픈소스 개발자들에게는 그리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 그동안 이미 수많은 프로그래머가 온라인으로 교류하면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개발해왔기 때문인데요. l 출처: 깃허브 그렇다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오픈소스 개발자들의 삶은 비슷할까요? 아니면 이들 생활에도 변화가 생겼을까요? 이 질문을 가지고 데이터를 조사한 곳이 있습니다. 세계 최대 오픈소스 저장소를 운영하는 깃허브(GitHub)입니다. 그럼 오늘은 코로나19가 개발자들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19 특수를 누리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들 현재 개발자들은 .. 더보기 코딩 재료가 문 앞에? 이제 코딩 교육도 구독한다! 바야흐로 모든 것이 구독되는 시대입니다. 넷플릭스 같은 콘텐츠 기업부터 자동차, 쇼핑, 운동, 가구, 의료 기업까지 구독 경제를 활용하는 곳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인데요. 교육 업계, 특히 코딩 교육 분야에서도 구독 경제 도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투자금에 의지하던 많은 코딩 기업들이 구독 경제로 수익 구조에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죠.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매달 코딩 재료를 집으로 배달해드립니다.” 현재 코딩 교육 시장에선 어린이 교육과 취업 교육 영역이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중 어린이 코딩 교육 분야는 공교육 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동안 한 가지 넘지 못한 벽이 있었습니다. 바로 수익화 부분입니다. 초기 시장을 이끈 기업들은(미국의 스크래치(Scratch), 코드.. 더보기 인공지능의 ‘블랙박스’? AI에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한 이유! 코로나19로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기술 변화도 마찬가지인데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과 비대면 서비스가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의 중심에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이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까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의 관계를 비유하자면, 비행기에 블랙박스를 장착하는 것과 같습니다. 인공지능이 내린 결론을 현재는 설명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인공지능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흐름을 블록체인에 저장해서 블랙박스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블록체인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이 융합하면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역사에서 배우는 효과.. 더보기 코로나, 오픈 사이언스 운동에 불을 지피다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몸살을 앓는 중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의료계, 개인, 정부, 기업까지 여러 노력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과학계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정확히 말해 과학계 협업 방식입니다. 요즘 과학계에선 과거 유행병이 돌던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수준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해결책을 공동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를 과학계는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IT 업계의 오픈소스 문화처럼 개방성과 집단지성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죠. 오픈 사이언스는 왜 필요할까? ‘과학계는 폐쇄적인 곳일까?’ 이 질문에 동의하지 않는 분이 많을 겁니다. 당장 과학 교과서를 펴보거나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누구나 원하는 과학 정보를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춘추 전국 시대, 어디서 공부할까?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 때, 맨 먼저 고민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아마 ‘어떤 언어를 배울까?’라는 부분일 겁니다. 초급자가 아닌 경력자들도 종종 새로운 언어에 관심을 보이며 최신 프로그래밍 트렌드를 살펴보고는 하는데요. 요즘 대세 중의 대세인 언어는 바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입니다. 일례로, 오픈소스 커뮤니티 깃허브, 시장 분석 기업 레드몽크, IT 분야 구인구직 사이트 해커랭크 등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가장 인기 있는 언어에 자바스크립트가 뽑히기도 했습니다. 깃허브: https://octoverse.github.com/레드몽크: https://redmonk.com/sogrady/2019/07/18/language-rankings-6-19/해커랭크: https://r.. 더보기 오픈소스 업계에도 90년대 생이 온다 ‘90년대 생이 온다’라는 책은 작년 한 해 각 언론과 출판계에서 주목 받은 책입니다. 이 책은 젊은 세대의 문화, 소비 습관, 가치관 등을 분석해 마케팅 업계에서 인기가 높았는데요. 새로운 세대를 신입으로 맞이하는 여러 직장인 사이에서도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젊은 세대를 분석하려는 트렌드는 한국만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실제 위 책에서도 미국, 중국 등 여러 해외 사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만큼 전 세계적으로 젊은이들의 생각을 알아보려는 노력이 여기저기서 이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 IT 업계, 정확히 오픈소스 시장 내 20대 청년들의 가치관을 알아보겠습니다. l 디지털 오션이 펴낸 오픈소스 관련 설문조사 (출처: https://do.co/2tzNEHB) ‘오픈소스는 누가 관리하는 것이.. 더보기 2019 LG CNS 블로그 Best 콘텐츠 7 2019년도 이제 마무리하는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LG CNS 블로그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IT 소식을 독자 여러분께 전달하고자 노력했는데요. IT 업계를 선도하는 LG CNS 소식을 비롯해 스마트 팩토리, 자율주행차, 로봇, 블록체인,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IT 소식을 전해 드렸습니다. 2019년에도 독자 여러분과 함께한 블로그 독자 초청 세미나 역시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덕분에 성황리에 마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올 한 해는 어떤 콘텐츠가 독자 여러분의 관심을 받았을까요? 2019년을 되돌아보며, 독자 여러분에게 사랑받은 콘텐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9 LG CNS 블로그 Best 콘텐츠 7, 지금 시작하겠습니다. 2019 LG CNS 블로그 Best Con.. 더보기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