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로봇 썸네일형 리스트형 5G가 바꿀 로봇 세상 얼마 전 SK텔레콤과 LG전자가 5G 클라우드 기반 로봇 개발에 협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5G와 ICT 기술을 집약한 초저지연 로봇 클라우드, 5G 기반 물리 보안 및 안내 로봇 등의 개발에 양사가 협력하기로 했다는 내용입니다. 5G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 로봇을 클라우드에 연결해 원격지에서 로봇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필요한 기능 또는 자원을 그때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봇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고성능 프로세서와 센서 등의 탑재를 줄이고 대신 인공지능과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에 집중적으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증강현실(AR) 등 새로운 기술을 로봇에 적용하기 위해선 초저지연성과 고속 데이터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 더보기 LG CNS, 로봇 지휘본부 세운다 # 쇼핑몰의 청소 로봇이 자체 설정된 프로그램과 센서로 장애물을 피해가며 열심히 임무를 수행합니다. 쇼핑몰 내 한 매장의 행사가 끝난 후 지저분해진 행사장 청소가 필요한 상황. 하지만 청소 로봇은 이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죠. 물론, 스스로 지저분한 매장을 찾아가 청소하는 일도 불가능합니다. 이때 LG CNS 오롯의 역할이 시작됩니다. 쇼핑몰로부터 행사 일정과 지도를 받아, 행사 종료 시각에 맞춰 로봇에 출동 명령을 내립니다. 특히, 로봇이 여러 대일 경우, 오롯의 역할은 더욱 빛을 발하는데요. 1, 2번 로봇에는 행사 매장 청소 임무를 부여하고, 3, 4번 로봇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복귀 명령을 내려, 로봇의 그룹별 임무 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LG CNS가 IT 서비스 업계 최초로 로봇 서비스 플랫.. 더보기 LG, 국내 첫 지능형 로봇 사업 따냈다 LG CNS와 LG전자가 협력해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발주한 국내 첫 지능형 로봇 사업을 수주하며 지능형 로봇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LG는 이번 사업에 LG 전자의 다국어를 지원하는 자율 주행 로봇 제작 기술과 LG CNS 무선 통신 기반 로봇 관제 시스템 구축 역량을 결집하여, 올 9월 프로젝트를 시작해 내년 6월 완료한다는 계획입니다. 인천국제공항 입출국장에 지능형 로봇 14대 제작 및 로봇 관제 시스템 구축 이번 사업은 국내에서 발주된 지능형 로봇 사업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데요. 출국장 대기 인원 파악, 게이트 안내 및 기내 반입금지 물품 안내를 위한 출국장 로봇과 수하물 수취대 번호, 승객 대면 음성 안내를 위한 입국장 로봇을 도입합니다. 이를 위해 인천국제공항 내부 시스템과 연계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