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결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 세계가 뛰어든 ‘디지털 화폐(CBDC)’ 전쟁의 승자는? 요즘 한국은행에서 CBDC 컨설팅 사업이 발주되면서 블록체인 산업계에서도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는 실물 명목 화폐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영어 약자를 사용해 ‘CBDC’라고 부릅니다. CBDC는 발행 대상에 따라 일반적인 소액결제용과 금융 기관 간 거액결제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자적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현금과 달리 익명성을 제한할 수 있고, 이자 지급이 가능하며, 보유 한도 설정, 이용 시간 조절도 가능합니다. 2019년 7월에 중국은 CBDC를 발행한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왕씬(王信) 중국 인민은행 연구원 원장은 중앙은행 차원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할 예정이라.. 더보기 신용카드의 종말(?) IT 올라탄 ‘Future Pay’가 온다 물건을 구입할 때 가장 많이 쓰는 지불 수단은 신용카드입니다. 십수 년간 경제 주체 소비 수단은 신용•체크카드가 압도적입니다. 현금을 쓰는 사람은 찾아보기 드물 정도입니다. 그만큼 한국 신용카드 지불 결제 인프라는 세계 최강입니다. 100원짜리 소액결제부터 억대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신용카드 한 장만 있으면 모든 게 해결됩니다. 최근 간편 결제로 불리는 ‘OO페이’가 출현했고, 젊은 세대인 MZ 세대는 지갑에 들어 있는 신용카드나 현금 대신 스마트폰에 받은 ‘OO페이’로 결제하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착각합니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젊은 세대가 많이 쓰는 간편 결제 뒤 단에는 90% 이상이 신용카드 혹은 은행 계좌 기반 직불카드가 연동돼 있습니다. 결제 방식이 바뀐 것이지 결제 수단이 바.. 더보기 스마트폰 앱 서비스 보안의 현재와 미래 지난 시간에 살펴 본 ‘스마트폰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IoT 보안 취약점 사례 소개 및 취약점 진단’에 이어 ‘스마트폰 앱 서비스 보안의 현재와 미래’ 편에서는 전반적인 앱 보안 취약점과 대응 기술, 그리고 준비•진행 중인 미래 보안 기술 동향 등에 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 모바일 보안 기획조사에 의하면 사용자 모바일 보안에 대한 인식은 87.7%로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분실•도난 경험률은 22.7%로 평균 사용자 10명 중 2명이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l 모바일 보안에 대한 관심 및 인식률 l 모바일 기기 도난 및 분실 사고 보안 사고 부분에서도 분실 도난 방지나 데이터 백업 암호화 등 보안 사고 대비율은 약..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