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용 로봇

iREX 2019 통해 본 로봇 산업계 주요 흐름 지난해 12월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도쿄 빅사이트 전시장에선 일본 최대 로봇 전시회인 ‘2019 국제로봇전(iREX)’이 열렸습니다. 1974년 처음으로 시작된 iREX는 2년에 한 번 열리지만 벌써 23회째를 맞을 정도로 오랜 연륜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번 iREX 2019에는 637개 로봇 업체들이 총 3,060개 부스에서 최신 기술을 출품,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습니다. 일본 산업용 로봇 업계를 대표하는 화낙을 비롯해 가와사키중공업, 미쓰비시전기, 나치, 도시바, 오므론, 야마하, 엡손, 덴소 등 일본 업체뿐 아니라 ABB, 쿠카, 유니버설 로봇 등 쟁쟁한 해외 로봇 기업들이 총출동해 최신 로봇 기술의 향연을 펼쳤습니다. l iREX 2018가 열린 빅사이트 전시장 (사진: 필자 촬영) .. 더보기
소셜 로봇의 미래 블록체인, 바이오 인공장기, 3차원 프린팅, 가상•증강현실. 이 기술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미래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만한 잠재력이 있는 첨단 과학 또는 IT 기술인 것은 알겠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별로 공통점이 없어 보입니다. 이들 기술은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해 ‘기술영향평가(TA: Technology Asseement)’를 받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들 기술 외에도 유전자 가위, 무인 이동체, 뇌•기계 인터페이스, 빅데이터 분석, 줄기세포 치료 등이 지난 2003년 이후 정부의 기술영향평가를 받았습니다. ‘환경영향평가’라는 말은 귀에 아주 익숙하지만 ‘기술영향평가’는 좀 생소한 게 사실입니다. 미국이나 유럽에선 이미 1970~80년대부터 사회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과학기술을 .. 더보기
협동 로봇의 진화 테크놀로지 분야 시장 조사 업체인 ABI 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산업계 협동 로봇 시장 추이’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30년 전 세계 협동 로봇 시장은 118억 달러(약 14조 2,84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기에 협동 로봇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와 그리퍼 등 'EOAT(End-of-arm Tooling)' 제품을 포함하면 협동 로봇 시장은 무려 240억 달러(약 29조 520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협동 로봇 매출 비중이 전체 산업용 로봇 시장의 5%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2030년에는 29%까지 확대되면서 로봇 산업의 주류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게 ABI 리서치의 분석입니다. ABI 리서치는 이번 자료에서 우리에게 협동 로봇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우선 협.. 더보기
5G가 바꿀 로봇 세상 얼마 전 SK텔레콤과 LG전자가 5G 클라우드 기반 로봇 개발에 협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5G와 ICT 기술을 집약한 초저지연 로봇 클라우드, 5G 기반 물리 보안 및 안내 로봇 등의 개발에 양사가 협력하기로 했다는 내용입니다. 5G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 로봇을 클라우드에 연결해 원격지에서 로봇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필요한 기능 또는 자원을 그때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로봇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고성능 프로세서와 센서 등의 탑재를 줄이고 대신 인공지능과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에 집중적으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증강현실(AR) 등 새로운 기술을 로봇에 적용하기 위해선 초저지연성과 고속 데이터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 더보기
인간과의 공존이 가능한 스마트 팩토리 협동 로봇 최근 제조 기업들은 글로벌 시대에 맞춰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기업은 이를 위해 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는데요. 로봇은 산업용 제조 로봇과 서비스 로봇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은 공장 등에서 조립, 용접, 포장, 검사 등을 하는 로봇을 말하며 서비스 로봇은 가정이나 병원 등에서 노인 돌봄 서비스나 애완견 사료 배식, 청소 로봇 등 인내심을 필요로 하는 작업에 사용됩니다. 또한 공항, 호텔 등에서 안내를 맡는 로봇도 있습니다. 이중 스마트 팩토리에 주로 사용되는 로봇은 산업용 제조 로봇입니다. 산업용 제조 로봇의 장•담점은? 산업용 로봇의 장점은 교대 없이 24시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인력 투입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 더보기
글로벌 로봇 산업 트렌드, 어떻게 변할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본격적으로 접어들면서 글로벌 로봇 산업이 큰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에 이어 전기•전자 산업, 금속 산업, 고무 및 플라스틱 산업, 식음료 산업 등 산업계 전반으로 산업용 로봇 도입이 확산되고 있고 물류 로봇, 의료 로봇 등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도 확대일로에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이 격화되면서 산업계의 로봇 도입 열기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상승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로봇 연맹(IFR)이 최근 발표한 ‘2018 월드 로보틱스 리포트(World Robotics Report)’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산업용 로봇 판매량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38만 1천 대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이.. 더보기
상해 로봇 전시회를 통해 본 중국의 로봇 산업 지난 7월 4일부터 7일까지 중국 상해에서는 시아순(SIASUN), 이포트(EFORT), 판다 로봇(PANDA ROBOT) 등 중국의 대표적인 로봇 기업들과 화낙, 야스카와, 쿠카, ABB 등 글로벌 로봇 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중국 최대 로봇 전시회인 ‘제7회 상해 국제로봇 전람회(CiROS 2018)’와 자동차 산업 및 재료 전시회인 ‘제14회 AMTS(Shanghai International Automo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Material Show)’가 ‘국가회전중심(国家会展中心:NECC)’과 ‘신국제박람중심(新国际博览中心:NIEC)‘에서 열렸습니다. CiROS 2018이 로봇 공급 업체 중심 전시회라면 AMTS 2018은 시스템통합(SI) 업체, 로봇 공급 업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