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보안 썸네일형 리스트형 Big Data 속 커져가는 개인정보, 공개와 보호의 딜레마 많은 기업들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해 선호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맞춤형 광고 및 추천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수집, 활용하는 사용자의 정보가 많고 직접적일수록 의미 있는 정보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사용자의 웹 쿠키 기록만을 가지고 복잡한 알고리즘을 통한 정보 분석보다 페이스북의 ‘좋아요’ 버튼 기록을 분석하는 것이 사용자 선호도 분석에 있어, 알고리즘의 난이도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여준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입니다. 이는 ‘좋아요’ 기록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사회관계망(Social Network) 정보와 명시적인 의사 표현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업들의 개인정보 활용을 통한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항상 가치 있는 서비스로만 다가.. 더보기 스마트폰 앱 서비스 보안의 현재와 미래 지난 시간에 살펴 본 ‘스마트폰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IoT 보안 취약점 사례 소개 및 취약점 진단’에 이어 ‘스마트폰 앱 서비스 보안의 현재와 미래’ 편에서는 전반적인 앱 보안 취약점과 대응 기술, 그리고 준비•진행 중인 미래 보안 기술 동향 등에 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 모바일 보안 기획조사에 의하면 사용자 모바일 보안에 대한 인식은 87.7%로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분실•도난 경험률은 22.7%로 평균 사용자 10명 중 2명이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l 모바일 보안에 대한 관심 및 인식률 l 모바일 기기 도난 및 분실 사고 보안 사고 부분에서도 분실 도난 방지나 데이터 백업 암호화 등 보안 사고 대비율은 약.. 더보기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는 보안을 어떻게 지킬까요?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PC보다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더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제 모바일 기기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생활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관련 분야도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공공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현재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행정 업무 처리와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전자 정부 서비스 앱’은 1,160여 개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모바일 서비스 앱인 ‘코레일톡’은 다운로드 수가 1,000만을 넘어섰고,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교통정보 앱도 500만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공공 모바일 서비스는 어떻게 보안을 지켜 나가고 있을까요? 정부에서는 공공 모바일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보안 등 .. 더보기 스마트한 결제 습관, LG CNS 엠페이(MPay)!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차윤정입니다.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시 꼭 필요한 공인인증서(Certificate)는 사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최근 정부와 금융 당국이 전자상거래를 통한 카드 결제 시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을 폐지하여, 이제는 손쉽게 결제를 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그래서 향후 카드사와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PG)들이 공인인증서 사용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됩니다. 오는 7월 11일 금융감독원 인증평가 위원회가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보안인증 기술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고 하는데요. 위원회에서는LG CNS '엠페이(MPay)'의 금액인증방법에 공인인증서와 동등한 보안수준을 나타내는 '가군' 인증을 부여할 것 인지를 결정한다고 합..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