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

스마트시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전한 도시를 꿈꾼다.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은 강도, 방화, 폭탄 테러 등의 인위적인 범죄와 산불, 지진 등의 자연적 재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협 요인들에 대응하는 단계는 그 위협 요인을 사전에 찾아내어 제거 또는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 단계와 그 위협 행동에 의해 발생한 문제들을 신속히 해결하는 복구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도시의 안전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범죄나 재난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그 문제가 .. 더보기
정수기와 공기청정기가 필요 없는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있어 물과 공기는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깨끗한 물과 공기를 안정적으로 보장받기가 점차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물과 공기를 깨끗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최근 스마트시티는 어떠한 시도를 하고 있을까요? 분산형 수처리로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근대적인 도시들이 탄생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나라에서는 중앙 집중형 인프라를 구축.. 더보기
스마트시티로 더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를!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이 도시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편리한 인프라 때문입니다. 그 인프라는 한 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스마트시티에서는 어떠한 지능형 인프라가 구현될까요? 거대한 도시 인프라를 손쉽게 관리한다 1862년 빅토르 위고가 쓴 소설 ‘레미제라블’에 보면, 주인공 장발장이 다친 마리우스를 업고 하수도를 통해 탈출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만큼 오래된 파리의 하수도 시설은 .. 더보기
똑똑한 도시를 선도하는 IoT 결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스마트하게 달라지는 도시의 풍경#1. 세중시는 버스 운행 중에도 실시간으로 노선이 바뀌는 가변형 노선 서비스를 시행한다. 시는 1년간 수집한 버스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서 운행 대수를 늘리거나, 정류장마다 정착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로 승객이 없는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는다. 시시각각 바뀌는 버스 운행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시민들은 최적의 노선으로 편리하게 이동한다. #2. 한양시는 경찰서 내 데이터를 분석해 CCTV 설치가 필요한 지역에 주차 공간을 만들었다. 고민남 씨는 자신의 차량 블랙박스 정보를 시에 제공하는 대신 전용 주차공간을 확보했다. 고 씨의 자동차 블랙박스가 CCTV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시는 별도의 예산 없이 다수의 CCTV를 확보하고, 고 씨는 주차 걱정을.. 더보기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국 정부는 도시의 첨단화와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려는 시도로써 스마트시티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서는 에너지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약 40%가량이 건물에서 소비됩니다. 건축되면 짧게는 몇 십 년 길게는 100년 이상 사용되기 때문에 건축 당시 에너지 절감 설계가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큽니다. 건물 에너지를 줄이기.. 더보기
모든 사물과 사람을 잇는 IoT 플랫폼, INFioT 최근 많은 IT 업체나 기기 제조사, 디바이스 제조사 등이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발표하며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기존의 PC나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OS와 앱, 그리고 대응 하드웨어 등을 총칭해서 말하는데요. IoT에서 플랫폼은 어떤 것일까요? IoT는 4차 산업혁명에서 지금까지 데이터화할 수 없었던 영역을 데이터화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그 진가가 빛납니다.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물리적 형태와 데이터를 가상 세계에 동일하게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필수 요소로 LG CNS의 IoT 플랫폼, INFioT(Infinite IoT, 인피오티)가 있습니다. INFioT는 Infinite(무한한)와 IoT 합성어로, 우리 회사의 무한한 가능성과 기술.. 더보기
LG CNS, '한국형 스마트시티' 선도한다. #. A 시(市)는 버스 운영의 1년간 데이터를 수집해 운행 중에도 실시간으로 노선이 바뀌는 가변형 노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민들의 이용 패턴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운행 대수를 늘리거나, 특정 시간에 승객이 없는 일부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고 우회하기도 한다. 정류장마다 센서가 장착돼 승객이 없는 경우 버스에 알려준다. 시시각각 바뀌는 버스 운행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공유되기 때문에 시민들은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최적의 노선으로 편안하게 이동한다. #. B 시(市) 내 복잡한 주택가에 사는 김 모씨는 자신 차량의 블랙박스 정보를 시에 제공하는 대신 전용 주차공간을 얻었다. B 시는 경찰 내 데이터를 분석해 CCTV 설치 필요 지역에 주차 공간을 만들었다. 김 모씨의 자동차 블랙박스가 사실상 CCTV .. 더보기
싱가포르가 전 국토를 가상현실로 만드는 이유는?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 중 건물 영역의 에너지 소비 비중은 약 30%로, 스마트시티에서 에너지 절감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세계 각국의 다양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도시별 주요 현안 해결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에너지 및 환경 분야, 도시 서비스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서구 선진국의 경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데요. 각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