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의 관문,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바로 알기! 요즘 전문 용어 중 하나인 '스마트그리드(Smart Grid)'가 각종 매체나 방송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이 계통의 산업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들까지도 어렵지 않게 접하는 단어가 되었는데요. 그렇다면 스마트그리드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해서는 어떤 투자가 필요하고, 향후 발전 방향은 어떠할까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란 기존의 전력망에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생산 및 소비 정보를 양방향 혹은 실시간으로 교환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입니다. 화석 연료 중심의 전력 생산은 환경 오염 문제와 연료 비용의 부담이 있는데요. 뿐만 아니.. 더보기 소프트웨어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들 최근 탄소 배출 규제, 화석 연료 고갈 등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 사용료 절감 측면에서도 에너지 사용의 효율적 관리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연재에서는 전기 에너지의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적용되는 대표적 에너지 관련 소프트웨어 기술들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력 계통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 생산된 전력을 수송하고 분배하는 송전선로, 변전소, 배전선로 등 전력의 발생과 이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데요. 지금까지 전력계통은 전력의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져 왔습니다. 다시 말해, 전력 공급량 이 소비하는 전력량과 정확히 일치해야 계통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지요. 2011년 9월 15.. 더보기 LG CNS, 에너지와 IT 결합 서비스로 미국 ESS시장 진출 LG CNS가 ESS(Energy Storage System) Integration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미국의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Navigant Research(내비건트 리서치)가 지난 5월 업계 최초로 ESS(Energy Storage System) SI(System Integration) 순위를 발표한 Leaderboard Report에 따르면, LG CNS는 미국 기업들이 대다수 포진한 Energy Storage System Integrators 리스트에서 아시아 1위, 글로벌 4위에 랭크 되었습니다. 최근 배터리 사업으로 통칭되던 ESS 사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사업의 전 과정을 리드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갖춘 SI 기업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ESS는 사.. 더보기 ESS 총정리, 개념부터 주요 기술까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에 대해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에너지 중에서도 전력은 속성상 저장의 기능이 없는데요.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맞추기 위해서 소비의 부하규모에 따라 발전량을 조절해 왔습니다. 물론 전력의 저장개념으로서 전기(Hydro)가 있기는 하지요. ESS는 크게 물리적 저장시스템(CAES, Flywheel 등)과 화학적 저장시스템(리튬배터리, NAS전지, Lead-Acid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이후 배터리(Battery) 관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는데요. 에너지 저장에 대한 수단으로 전력의 발전단부터, 송배전, 소비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배터리 기술을 활용한 ESS를 특별히 BESS(Battery .. 더보기 사물인터넷(IoT)과 함께 하면 제조산업도 더욱 스마트해집니다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 여러분은 스마트폰으로 주로 무엇을 하시나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체중계와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체중을 측정하며 다이어트를 하기도 하고, 스마트폰은 가방에 넣어둔 채 손목의 스마트워치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악을 듣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제품들을 우리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제품이라고 부르는데요. 사물인터넷은 점점 하나의 사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물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은 사물인터넷의 파급 효과가 가장 클 것이라고 예측되는 제조 산업 분야에서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기존의 산업 환경이 크게 변화할 때, 우리는 이를 '산업 혁명'이라고 부릅니.. 더보기 대한민국 스마트 그린 에너지의 미래가 여기에 있다 - LG CNS 에너지 신산업 포럼 발표 - 지난 4월 9일, 코트라(KOTRA) 주최로 ‘에너지 신산업 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정보 공유’ 및 ‘한국 에너지 기술의 우수성에 대한 해외 전파’를 통해 국정과제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인데요. 에너지 기술 사업에 관심 있는 국내 정부 관계자와 지자체, 민간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바이어까지 참석하여 에너지 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LG CNS 스마트그린사업부의 김지섭 상무가 ‘종합 에너지 사업’을 주제로 연사로 참석하여 종합에너지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는데요. 다음에서는 종합 에너지 사업의 개념과 LG CNS가 종합 에너지 사업자로서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는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