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27001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환경에서 ISMS 인증 준비하기 국내외 다수 기업이 AWS를 인터넷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고, ISMS 인증 시 클라우드 환경도 인증범위에 포함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2006년 아마존이 AWS(Amazon Web Service)를 출시한 이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규모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도 대외 서비스 부분에 AWS나 MS 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용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터넷 서비스 인프라의 일부 또는 전부를 AWS 환경에서 구성한 경우에 AWS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능을 활용해 ISMS 통제요건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2017년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18% 성장 전망 전 세계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은 지난 10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해왔으며,.. 더보기 보안 관리 체계, 어떻게 도입해야 할까요? 지난 시간에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물리 보안'과 물리 보안과 정보 보안이 만나 진화한 '융합 보안'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어서 오늘 이 시간에는 [연재기획] 6편으로 ‘보안 관리 체계 도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국정원의 이탈리아 해킹팀 S/W 사용에 대한 뉴스가 이슈화되고 있습니다. 해킹팀의 S/W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후 이를 막을 수 있는 패치가 발표되기 전에 그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하는 제로데이공격(Zero Day Attack)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와 같은 사례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보안의 중요성, 아니 더 나아가 보안의 현실성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 보안은 기업의 규모에 상관없이 당연히 적용을 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