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AI 드라이브스루' 푸드체인을 팬데믹에서 구해낸 기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은 많은 식당을 문 닫게 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 등 17개 업종의 창업 건수는 25.4% 감소하고, 전국 일반음식점 폐업은 4만 2,990건으로 2019년 4만 7,484건보다 줄었습니다. 폐업이 늘지 않은 것은 폐업하더라도 새 점주를 찾지 못하는 탓에 손실을 감수하고 버티고 있는 것이 원인입니다. 실질적으로 주변에서 사라지는 식당은 더 많다는 겁니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상황이 아닙니다. 뉴욕접객연맹은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2020년 동안 고용이 43% 감소했고, 고급 레스토랑 부문에서는 55%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전국식당연합은 보고서를 통해 ‘2020년 12월까지 전국 11만 개 식당이 폐업했다'고.. 더보기 영통 팬싸에 라방 결혼식? 지금은 ‘언택트’ 시대 인간은 서로 접촉하며 즉 ‘컨택트’ 행동을 통해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전 세계로 퍼진 바이러스로 인해 어느 날부터 갑자기 영화에서만 있을 것 같은 ‘노터치’ 삶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유행이었던 사물 및 오피스 등 공유 문화에서,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 및 감염에 따른 불안함으로 인해 소유로 다시 돌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 주변의 삶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은 재택근무를 시행 중이며, 학업 또한 원격 수업이라는 새로운 학업 방식을 도입했고, 종교 연설 및 공연, 결혼식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 사회 많은 일이 서로 대면하지 않고 비대면으로 생활하는 문화로 바뀌고 있습니다. 언택트 시대에 따른 동향 언택트 트렌드로 인한 대표적인 변화는 외식 문화, 쇼핑, 교육 및 .. 더보기 AI와 로봇, 레스토랑 산업 변화의 주역이 되다 식당의 기술 도입은 활발한 추세입니다. 맥도날드나 서브웨이와 같은 체인은 자동화한 주문 키오스크를 보편화하고 있으며, 사람 없이 로봇만 배치한 무인 식당도 인기를 끌고 있죠. 어려운 얘기는 아닙니다. 식당의 많은 부분이 자동화되면 사업은 인건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공지능(AI)이나 로봇의 도입은 일자리 문제와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습니다. 초기 동향에서 더욱더 그러했습니다. AI와 로봇의 기본 전제가 식당에서 사람이 하는 업무를 대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기술 일면이 얼마나 많은 사람을 대체할 수 있을지 고려하는 쪽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죠. l 식당 보조 로봇 ‘플리피’ (출처: https://misorobotics.com/flippy/) 그 과도기에 접어든 현재는 단순히 사람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