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딩이 필요 없는 구글 어시스턴트 서비스 개발 플랫폼 출시 역사적으로 기술은 생산성을 높여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주었습니다. 그 덕에 인류의 역사는 진보할 수 있었죠. 건축 기술, 공학 기술, 통신 기술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그리고 그 기술은 인류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도구의 형태로 퍼지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도구는 기술의 대중화를 퍼트리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필자는 도구의 대중화는 기술의 혜택을 한정된 소수에 그치지 않고 대중에게 퍼트림으로써 문명 민주화에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능숙한 운전자만이 다룰 수 있었던 수동 변속기(스틱) 자동차에서 자동 변속기(오토)로의 변화는 남성 운전자 중심에서 벗어나 세대와 성별이 큰 장애가 되지 않도록 자동차를 대중화시킬 수 있었죠. 또한 영상의 촬영과 편집이 특수한 장비에 국한되던 시대에는.. 더보기 2018 LG CNS 블로그 Best 콘텐츠 7 2018년도 이제 마무리하는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LG CNS 블로그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IT 소식을 독자 여러분께 전달하고자 노력했는데요. IT 업계를 선도하는 LG CNS 소식을 비롯해 스마트시티, 4차 산업혁명, 자율주행차, 로봇 등 다양한 분야의 IT 소식을 전해 드렸습니다. 그리고 2016년부터 독자 여러분과 함께 해온 블로그 독자 초청 세미나도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덕분에 성황리에 마칠 수 있었습니다. 올해는 어떤 콘텐츠가 독자 여러분의 관심을 받았을까요? 2018년을 되돌아보며, 독자 여러분에게 사랑받은 콘텐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 LG CNS 블로그 Best 콘텐츠 7, 지금 시작하겠습니다. 2018 LG CNS 블로그 Best Contest .. 더보기 챗봇 도입을 위한 체크 포인트 이번 글에서는 기업이 비즈니스 채널로서 챗봇을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에 대해 기업 관점에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체크 포인트 1. 챗봇 서비스를 자체 개발을 할 것인가? 챗봇 도입을 검토하는 단계에서 직면하는 가장 큰 고민은 아마 챗봇을 자체 개발 또는 구축할 것인지 아니면 외부 솔루션을 도입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일 것입니다. 챗봇을 구조적으로 나눈다면 자연어 처리(NLP/NLU)와 같은 지능형(AI) 기술 영역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응용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론 IT 개발 인력을 충분히 갖추지 않은 기업 입장에서는 두 영역 모두 외부에서 수혈할 수밖에 없겠죠. 그래도 여전히 고민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어느 영역까지 외부 솔루션을 도입해야 하고 어느 부분은 자체적으로 개발해야 하.. 더보기 UX 관점에서 본 챗봇과 음성봇 지난 13편에서 챗봇과 음성봇이 공통적인 영역이 존재하여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구조적으로 설명 드렸습니다. 음성인식 기반의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챗봇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죠. 그러므로 둘을 별도로 떼어놓고 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챗봇과 음성봇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구현할 경우 UX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체크 포인트를 써보겠습니다. UX 체크 포인트 1. 인공지능 기술도 중요하지만 대화맥락을 구현해야 합니다.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실제 높은 수준의 AI 기술이 제공되면서 챗봇이나 음성봇의 제공에 있어서 생긴 오해 중의 하나가 서비스를 구현할 때 음성인식이나 자연어 처리 기술만 있으면 된다는 오해가 존재합니다. 물론 음성인식.. 더보기 챗봇을 넘어 음성봇으로 이번 글에서는 AI 스피커로 시작되어 업계에 큰 관심을 받는 음성인식 기술 기반의 음성봇(Voicebot) 구조를 챗봇 구조와 연계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음성봇과 챗봇은 닮은 점이 많다? 앞서 챗봇의 구조는 대화 의도(Intent)를 추출하는 것과 의도 속에 담긴 중요한 개체(Entity)를 추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챗봇에서 AI 기술은 사용자의 수많은 대화 방식 속에서 사용자 의도와 개체를 정확하고 빠르게 추출하는 데 활용이 되는 것이죠. 물론 추출된 의도와 개체로 주문이나 예약, 고객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화 흐름을 코딩이나 별도 운영 툴(Tool)을 이용해서 구현해야 합니다. l 챗봇의 일반적 구조로 의도 추출-개체 추출-시나리오가 주 구성 요소이다. 그렇다면 .. 더보기 챗봇은 산업을 뒤흔들었을까? ‘카카오톡 채팅으로 홈쇼핑 주문 서비스를 만들어볼까?’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던 2015년 봄. 그 당시까지만 해도 기업이 메신저를 이용해서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서비스를 만든다는 게 생소했고 그렇게 주목받지 못했던 기억이 납니다. 챗봇(Chatbot)이라는 용어도 쓰이지 않았죠. 3년이 흐른 지금 어떤가요? 이제 일반인들도 챗봇이라는 단어를 이해할 만큼 일반명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챗봇이 범용적인 용어가 되는 데는 한때 산업계를 휩쓸었던 챗봇 열풍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챗봇(Chatbot)은 기대만큼 산업을 뒤흔든 기술이었을까? 챗봇이라는 용어를 전 세계에 확산시킨 동력은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입니다. 그는 2016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개발자 회의 ‘F8 2016’에서 페이스북 미래의 키워.. 더보기 업계 최초 지능형 ERP 플랫폼 ‘LG CNS EAP’ 출시 # A 사(社)는 최근 도입한 LG CNS 지능형 ERP 플랫폼 'LG CNS EAP'에 탑재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술 덕에 송장 입력과 정산에 드는 시간을 대폭 줄였다. 기존엔 직원이 계산서를 일일이 입력했지만 이제 소프트웨어 로봇을 통해 계약서의 정보를 조회해 자동으로 대조해 검증한다. 대기업의 경우 하루 평균 1,000건 이상의 인보이스(계산서)가 발행되는데, 상품명, 거래 상태 등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데만 건당 10초 이상이 소요된다. 그러나 RPA를 도입했을 때, 해당 업무에 드는 시간이 기존 대비 98% 감소해 하루에 최소 3시간의 업무 시간이 절약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간 법정 근로시간으로 따지면 90여일 치 노동량이 절약되는 셈이다. LG CNS가 IT 업계 최초로 지능형.. 더보기 AR 광고가 떠오른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활용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건 마케팅과 광고입니다. AR 광고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존재한 시간보다 훨씬 더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변화를 겪었고, 떠오르고 있습니다. l Shoppable AR (출처: https://forbusiness.snapchat.com/ad-products/) 지난 7월, 피자 체인인 도미노피자는 스냅챗 AR 플랫폼의 새로운 기능인 '구매 가능한 AR(Shoppable AR)'을 활용한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이 캠페인은 스냅챗 앱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전면 카메라로 자신을 비출 때 피자가 반사되어 보이는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후면 카메라로 전환하면 상자가 열리면서 안에 있는 피자..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