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프라로 활용되는 웹 3.0, 글로벌 사례로 확인해 보세요! 웹 3.0 기술의 겉면만 보면 그리 새롭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최종 소비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는 똑같고 내부 기술 구조만 바뀐 것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전통 서비스가 앞으로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웹 3.0 기술로 언제나 대체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인프라 분야에서는 웹 2.0 서비스와 웹 3.0 서비스 간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스토리지는 많은 웹 3.0 기업들이 도전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블록체인이라는 분산 저장 시스템을 도입해 드롭박스, 구글 클라우드의 탈중앙 스토리지 버전을 만들려는 것인데요. 탈중앙 스토리지는 보통 데이터가 영원히 보존되며 특정 기업이 데이터를 소유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알위브도 이와 같습니다. 알위브가 관리하는 데이터는 외부 사용자의 남는 디스크 공.. 더보기 LG CNS 2020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모집 안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LG CNS는 지난 30년 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해 온 IT 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제조•금융•공공•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과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운영, 아웃소싱 등의 토털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IT 신기술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LG CNS에서는 아래와 같이 2020년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지원 방법 및 문의처 LG그룹 채용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http://careers.lg.com)만 가능합니다. 문의사항은 LG그룹 채용 홈페이지 채용문의의 1:1 질문하기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글 l LG CNS 홍보팀 * .. 더보기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하려면? ‘이것’부터 시작해라! CSP(Cloud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살펴보고, CSP가 제시하는 비용 할인 정책에 대해 살펴본 지난 편(Part 3. 클라우드 비용 할인 정책) 에 이어 이번 편에는 마지막으로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비용을 관리할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지난편 보기] 멀티 클라우드 시대, 클라우드 서비스 '잘알'이 되려면?● [지난편 보기] 클라우드 할인 정책 전격 비교! 내게 맞는 ‘갓성비’ 요금제는? Part 4. 클라우드 비용 관리 클라우드는 필요할 때마다 리소스를 계속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 비용이 청구되어 전체 리소스 사용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필요한 인프라를 미리 구매해 한정된 자원을 배분해 사용하도록 하는 기존의 방식에 익숙한 .. 더보기 AI가 신호등 조절 및 구급차 출동, '미래 도시'가 온다 4차 산업혁명이 도시의 풍경을 바꿔 놓고 있습니다. 도시에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이 시민들이 가장 살기 좋은 미래 도시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어떤 미래가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을까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분석 보고서를 토대로 ‘데이터 기반 스마트 도시’의 미래를 예견해보겠습니다. 중국 항저우, 최적의 교통 흐름을 구현하다 중국 항저우는 ‘시티 브레인’ 시스템을 구축해 도시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항저우의 모든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통제함으로써 도시 문제를 척척 해결하고 있습니다. 도시 전체에 설치된 CCTV는 교통 혼잡을 예측해 신호등을 자동으로 조절해주고 범죄자나 불법 주차 차량을 파악해 경찰에 통보해줍니다. 위기가 발생하거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 더보기 LG CNS 인프라 운영관리(서버/스토리지) 경력채용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LG CNS는 지난 30년 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해 온 IT 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제조•금융•공공•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과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운영, 아웃소싱 등의 토털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IT 신기술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LG CNS에서는 아래와 같이 인프라 운영관리(서버/스토리지) 경력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모집기간: 2019.01.21 23:00 까지 ● 모집분야 ● 지원 자격 및 절차 더보기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한 스마트 플랫폼의 진화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시티라는 말을 들었을 때 떠올려지는 이미지는 사람마다 다양하며, 실제로 일어나는 사업의 형태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스마트시티를 구성하는 층위(Layer)는 인프라•플랫폼•서비스의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스마트시티의 핵심인 스마트 플랫폼(Smart Platfor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 플랫폼이란? 승강장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 플랫폼은 기차, 지하철, 혹은 버스.. 더보기 스마트시티로 더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를!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이 도시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편리한 인프라 때문입니다. 그 인프라는 한 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스마트시티에서는 어떠한 지능형 인프라가 구현될까요? 거대한 도시 인프라를 손쉽게 관리한다 1862년 빅토르 위고가 쓴 소설 ‘레미제라블’에 보면, 주인공 장발장이 다친 마리우스를 업고 하수도를 통해 탈출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만큼 오래된 파리의 하수도 시설은 .. 더보기 알리바바, 소스코드를 무료로 풀다 2017년 10월 구글의 한 개발자는 흥미로운 통계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어떤 기업이 오픈소스 기술을 가장 많이 기여하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는데요. 여기에는 깃허브 내에서 코드 수정 횟수, 기여자, 소속, 프로젝트 수를 활용했습니다. 살펴보니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MS), 레드햇 등이 상위 순위에 올랐습니다. 다소 뻔한 결과이지만 특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어느 한 중국 기업이 깃허브, 아마존, 페이스북과 비슷한 수준으로 오픈소스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오늘 다룰 ‘알리바바(Alibaba)’ 이야기입니다. ● 참고 링크: https://bit.ly/github-top2017 l 알리바바는 12개 기업 중 유일하게 중국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나머지 기업은 모두 미국 기업이다.(출처:..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