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위성

자율주행차가 화성을 누빈다? 우주로 진출한 인공지능! 우주 산업은 20세기 미국과 러시아의 냉전 시대를 거치며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국가적, 군사적 경쟁으로 시작된 우주 산업은 현재 기업 간 경쟁으로 바뀌었습니다. 일론 머스크, 제프 베조스, 리차드 브랜슨과 같은 IT 기업 거물이 우주 산업에 뛰어들었고 그들의 치열한 경쟁에 힘입어 하루가 다르게 우주 산업은 성장하고 있습니다. 우주 탐사로 가장 널리 알려진 NASA(미국 항공우주국)는 자체적인 연구는 물론,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제프 베조스의 블루 오리진 및 구글, IBM 등 IT 기업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NASA는 기업뿐만 아니라 국제 연구기관, 대학과 함께 오래전부터 인공지능을 우주 연구에 활용하려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우주 과학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에 확인할 .. 더보기
AI가 스마트하게 지구를 지키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코지입니다. 이전 연재를 통해 머신러닝의 개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머신러닝이란 우리가 수많은 경험과 연습을 통해 배우는 것처럼, 컴퓨터를 수많은 데이터로 학습시키는 것이었죠. 그렇다면 머신러닝은 과연 우리 삶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요? ‘환경 보호’와 관련된 주제로 몇 가지 활용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 삼림 파괴를 감시하는 AI스타트업 기업인 ‘오비탈 인사이트’에서는 삼림의 불법 벌목 방지를 위해서 인공위성으로 찍은 삼림 지역 사진을 통해 불법 벌목 여부를 판독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AI가 수백만 장의 위성사진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도로 건설이나 삼림 벌채 등의 징후를 파악해 가장 높은 위험에 처한 숲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l 출처: Rain Forest Connection 또.. 더보기
우주 여행부터 호텔, 마을까지! '우주 시대' 열린다 4차 산업혁명이 우주 시대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우주와 지구가 연결되는 초연결 세상이 실현되면서 우주 여행 시대가 임박했고 우주 주택에서 화성 도시, 우주 호텔까지 추진되고 있는데요. 미국과 일본, 중국, 유럽이 서둘러 미래 인류의 삶의 터전을 우주 세계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0년 ‘원웹 세상’ 열린다 인공위성을 활용해 전 세계를 고속 인터넷 통신망으로 무장하는 원웹(OneWeb) 프로젝트가 시작됐습니다. 현재 전 세계 인구 70억 명 중 30~40억 명은 아직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인공위성은 정글이나 남극, 북극, 바다 위, 산꼭대기 등 회선 설치가 불가능한 곳이라도 전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l 원웹 (출처: OneWeb) 원웹은 고도 1200km의 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