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챗

인터넷전문은행, 초반 돌풍 원인과 극복 과제 요즘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가 새겨진 카카오뱅크 체크카드를 소셜미디어에 올려 자랑하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돈 쓸 일이 있을 때 은근히 꺼내 보이기도 하지요. 소비자들이 이렇게 은행의 활동에 애정을 드러내는 것은 보기 드문 일입니다. 명품도, 마니아 제품도 아닌데 말이죠. 은행이나 통신사는 많은 사람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일반 소비자 대상 마케팅을 가장 많이 하지만 여전히 고객들은 거리를 느낍니다. 새롭게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돌풍을 보며 은행의 혁신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를 엿볼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7월 27일 영업을 시작, 8시간 만에 10만 계좌를 돌파하고 한 달 만에 300만 계좌를 넘어섰습니다. 출범 한 달 만에 체크카드 신청이 210만 건에 이르렀습니다. 카카.. 더보기
챗봇, 이렇게 활용할 수 있다! 1편에서 챗봇(Chatbot)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번 편에서는 실제 챗봇을 이용해 구현한 서비스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챗봇이 이슈가 되면서 각종 언론에서는 해외 사례를 많이 언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도 카카오톡 챗봇API(자동응답 API)를 이용해 미디어, 금융, 유통, 가전 등 다양한 업종에서 서비스를 구현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챗봇은 기존 PC 메신저에서도 존재했던 API 기술이었기 때문에 챗봇을 활용한 서비스 사례들이 제공되고 있었죠. 다만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은 탓에 챗봇이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서는 국내에서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챗봇 서비스 사례 위주로 정리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 더보기
모바일 메신저 '챗봇(Chatbot)'이란 무엇일까? 커머스(Commerce)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주문과 결제 채널일 것입니다. 구매 고객이 쉽고 빠르게 상품을 주문하고 결제할 수 있도록 커머스 사업자들은 끊임없이 주문 채널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죠. 작년에 간편 결제가 큰 화두가 되어 너도나도 간편결제 서비스를 출시한 것도 쉽고 빠른 결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의지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커머스의 핵심! 주문 채널은 진화한다 그래서 주문 채널은 역사적으로 꾸준히 진화해 왔습니다. 스마트폰과 신용카드가 없었던 시절에는 매장에서 고객과 판매자가 직접 만나서 거래하는 대면 주문만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 수단이 보급되면서 직접 만나지 않고도 전화나 온라인을 통해 상담원이 주문을 받는 방식의 비대면 주문 채널이 나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