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 신호를 이용한 텔레바이오 인식, 어디까지 왔나?
전통적으로 바이오 인식 기술은 출입국심사, 출입통제, 행정(무인 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 찾기, 복지 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 PC, 인터넷 인증),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 인출, 모바일 결제) 등 여러 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아래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지급 결제 서비스, ATM 인출기, 인터넷전문은행 등과 같은 핀테크 분야에서 비대면 인증 기술로 모바일 바이오 인식 기술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위조지문 등 기존의 신체적 특징(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 외부)을 이용한 바이오 인식 기술의 위변조 위협에 대한 우려가 존재함에 따라 뇌파, 심전도, 근전도,..
더보기
바이오 인식 기술의 과거, 현재와 미래
바이오 인식 기술(Standardization for Biometrics)은 사람의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또는 음성, 서명, 자판, 걸음걸이 등 행동적 특징(Behavioral characteristics)을 자동화된 IT 기술로 추출•저장해 다양한 IT 기기로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기술입니다. 전통적으로 바이오 인식 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 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 근태관리), 행정(무인 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 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 인증, PC, 인터넷 로그인),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 인출) 등 여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