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픈소스

3대 오픈소스 IDE, 그들은 왜 오픈소스가 되었나? 글을 쓰기 위해서는 펜이나 공책 같은 글쓰기 도구가 필요합니다. 만약 컴퓨터에서 쓴다면 메모장, 한글, MS 오피스 같은 프로그램이 필요하겠죠. 비슷하게 프로그래밍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작성 도구가 필요합니다. 문서작성 도구에서 인쇄, 저장, 정렬 등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모아 제공하는 것처럼, 개발 도구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종합세트처럼 모아서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합개발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이라고 부릅니다. IDE를 이용하면 개발자는 코드 편집, 컴파일, 디버깅 기능을 클릭 몇 번만으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프로그래밍을 할 때면 적절한 IDE를 가장 먼저 선택하고 다운받고 설치하는 작업을 합니다. 한.. 더보기
미국은 왜 오픈소스 정부를 꿈꾸는가? 그동안 오픈소스 기술의 큰 흐름은 커뮤니티들이 주도하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개인의 자발적인 참여로 기술을 업데이트하고, 그 기술을 개인들이 다시 사용하여 생태계가 커지는 형태였죠. 그러나 최근에는 대형 IT기업들이 오픈소스 기술에 관심을 두고 직접 사용하면서 특정 커뮤니티에 후원도 하고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직접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상대적으로 오픈소스 기술을 사용하거나 직접 만드는 것에 소극적이었습니다. 개인, 커뮤니티, 기업과 달리 정부는 새로운 기술을 만들고 판매하는 곳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안정성과 보안성을 요구하는 정부에서 오픈소스 기술을 선뜻 사용하기도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최근 2~3년 전부터 정부가 오픈소스를 대하는 태도에 변화가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정부가.. 더보기
LG CNS 전문가를 만나다 - 아파치 Committer, 민병석 차장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 이하 ASF)은 1999년 설립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미국의 비영리재단으로, 아파치 이외에도 자바, 펄 등과 관련된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l 출처: http://www.apache.org/ ASF에서 만드는 소프트웨어는 특정한 사람을 중심으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같은 관심을 가진 그룹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며 집단으로 개발하는데요. 누구나 ASF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지만, 소스 코드의 반영 권한을 가진 보다 중요한 기여자가 되려면 소속 PMC(Project Management Committee) 멤버들의 만장일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승인받은 사람들을 Committer라고 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