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2편, LDW 지난 시간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로지컬 데이터 웨어하우스(Logical Data Warehouse)의 정의와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로지컬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적용 사례와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http://blog.lgcns.com/1775 LDW(Logical Data Warehouse)의 적용 사례 LDW라는 개념은 2~3년 전에 제시되었고, 다양한 활용 사례들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저렴한 저장 공간을 활용한 사례와 분산 병렬 처리를 이용한 배치 속도 개선 사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데이터 아카이빙 영역으로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생산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부분 .. 더보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1편, LDW IDC는 2020년, 전 세계 데이터가 44 제타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모바일, 소셜 미디어, IoT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는 폭증하고 있는데요. 발생 데이터 80% 이상이 비정형 데이터로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바야흐로 데이터의 빅뱅, 빅데이터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정보 분석 환경은 정형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오픈소스의 발달로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진 하둡(Hadoop)의 등장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고, 분산 병렬 처리를 지원하여 빅데이터 처리와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기업들은 이미 구축해 각종 분석에 활용하고 있는 정형 데이터 중심의 데이터 웨어하우스(Dat.. 더보기 알리바바의 인기 오픈소스 총정리 지난 시간에는 중국 오픈소스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알리바바와 어떤 오픈소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개발한 기술을 공개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알리바바의 인기 오픈소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리바바의 주요 오픈소스 기술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분산 시스템 분야에 있는 오픈소스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산 시스템 ● 더보우(Dubbo)더보우는 고성능 RPC(Remote Procedure Call) 프레임워크입니다. RPC는 원격제어를 위한 별도의 코드 없이도 다른 주소 공간에서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합니다. 더보우를 이용하면 단일구조 애플리케이션을 확장성 있는 분산 아키텍쳐로 쉽게 바꿀 수 있게 지원한다고 합니다. 알리바바 외에도 중국의.. 더보기 알리바바, 소스코드를 무료로 풀다 2017년 10월 구글의 한 개발자는 흥미로운 통계 분석을 공개했습니다. 어떤 기업이 오픈소스 기술을 가장 많이 기여하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는데요. 여기에는 깃허브 내에서 코드 수정 횟수, 기여자, 소속, 프로젝트 수를 활용했습니다. 살펴보니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MS), 레드햇 등이 상위 순위에 올랐습니다. 다소 뻔한 결과이지만 특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어느 한 중국 기업이 깃허브, 아마존, 페이스북과 비슷한 수준으로 오픈소스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바로 오늘 다룰 ‘알리바바(Alibaba)’ 이야기입니다. ● 참고 링크: https://bit.ly/github-top2017 l 알리바바는 12개 기업 중 유일하게 중국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나머지 기업은 모두 미국 기업이다.(출처:.. 더보기 창업의 나라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 중국의 공유 자전거 스타트업들이 정리가 되고 있습니다. 공유 자전거 전쟁이 끝나가는 신호라 할 수 있는데요. 이를 통해 미국 못지않게 치열한 중국의 스타트 업계를 엿보게 됩니다. 상해의 밤은 스타트업 사무실의 꺼지지 않는 불빛으로 화려합니다. 성장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중국 스타트업의 열정과 저력을 느낄 수 있는데요. 중국의 ‘비트코인 없는 블록체인’ 중국의 블록체인 정책은 한국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블록체인 스타트업은 블록체인의 핵심인 ‘코인’을 제외한 반쪽짜리 기술만을 이야기해야 하는데요. 그러나 어느 나라보다 중국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블록체인으로 창업하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상해에서 만난 ‘딥브레인 체인’ CEO를 포함한 팀은 열정적으로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기술인 도.. 더보기 디지털 유목민의 오픈소스 블로그 혁명 ‘오토매틱’ 인터넷을 하다 보면 꼭 한 번쯤 접속하게 되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바로 블로그입니다. 여러 블로그가 존재하지만 아직 한국인들에게 생소한 블로그가 아마 워드프레스일 것입니다. 오토매틱이란 단어는 더욱 생소할 텐데요. 오토매틱(Automattic)은 워드프레스 기술을 개발하고 웹 기술에 큰 영향을 끼치는 기업으로 손꼽힙니다. 이들의 목표는 출판과 커머스 분야의 민주화. 즉 누구나 글을 쓰고 물건을 사고팔 수 있도록 기술을 지원하는 일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어떤 오픈소스 기술을 만들었고 어떤 식으로 성장하고 있을까요? 먼저 워드프레스가 무엇인지 조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l 워드프레스닷컴 VS 워드프레스닷오알지(출처: 오토매틱 https://automattic.com/about/ / 워드프레스 https:/.. 더보기 오픈소스 계의 ‘MS 오피스’는 무엇이 있을까? 컴퓨터를 구매하고 가장 먼저 세팅하는 작업은 무엇인가요? 많은 분이 문서 프로그램을 구매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많이 하실 겁니다. 한국에서는 특히 한컴 오피스나,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가 대중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구글 닥스 같은 제품도 꽤 소비되고 있습니다. 많은 기술 분야에 오픈소스 기술이 넓게 퍼진 것처럼 이 문서 도구 분야에도 오픈소스 기술들이 나왔습니다. 물론 성공했다고 말할 만큼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그 시작은 굉장히 빨랐습니다. 스타라이터, 오픈소스 문서 편집기의 조상 1985년 독일 뤼네부르크에 살던 16세 ‘마르코 보리스’라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현재도 IT 기업을 운영하며, 미국 실리콘 밸리와 독일 등에서 투자자로 활동하는 인물입니다. 그는 학창 시절 스타디비전(StarD.. 더보기 오픈소스 기술로 웹을 지킨다 만약 인터넷이란 기술을 특정 기업이 소유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특정 기업이 본인 기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인터넷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다른 사람들은 다소 불편한 기술을 이용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모질라 재단은 모두를 위해 더 좋은 인터넷을 만드는데 큰 공을 세운 단체입니다. 그들이 만드는 기술의 핵심에는 모두 오픈소스 기술이 있죠. 최근에는 신인 오픈소스 기술을 발굴하는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또한, 웹 기술 외에 프로그래밍 언어, 가상현실(VR), 음성인식 기술까지 새로운 오픈소스 개발에도 한창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모질라 재단의 역사와 그 오픈소스 기술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l 모질라 재단(출처: https://www.facebook.com/mozilla/photos..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