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뱅킹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2년 금융 디지털의 원년, 달라지는 것은 무엇이 있나요? 코로나 19 장기화로 이제 지점을 가지 않는 ‘언텍트 비대면’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AI(인공지능)와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첨단 미래 기술이 금융 채널에 융합하면서 혁신 핀테크 금융 서비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임인년 새해를 맞아 이번 글에서는 올해 국내 금융시장 변화와 제도를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은 금융 디지털의 원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난 5일부터 API(응용프로그램개발환경)방식 금융 마이데이터가 전면 시행됐습니다. 새해부터 본인신용정보관리 회사가 등장하고 종전 스크래핑 서비스는 전면 중단됩니다. 이로 인해 기존 스크래핑 방식 대비 약 10배 빨라진 속도로 금융자산을 통합 조회할 수 있고, 옛 공인인증서 외에 사설인증서를 통해 여러 금융회사에 원스톱 전송 요구가 가능해집니.. 더보기 다가오는 초개인화 시대, 주인공은 ‘마이데이터’ 마이데이터 산업이 만들어낼 수 있는 서비스의 모습은 다양합니다. 개인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대부분이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결과물이 될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한 국내외 사례를 통해 마이데이터 산업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예상해보겠습니다. 마이데이터 산업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서비스는 여러 곳에 흩어진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기업은 이렇게 한곳에 모은 데이터로 통합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맞춤 혜택을 제공하는데요. 금융권에서는 주로 자산 분석 서비스 형태로 이런 서비스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금융계에서 이러한 자산 통합 서비스를 출시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소비자로선 통합 서비스를 통해 여러 앱을 깔지 않고 자산.. 더보기 데이터 시장 신 패러다임 '마이데이터' 산업의 판을 뒤집다! 2021년, 데이터 업계 내 화두는 마이데이터(Mydata)였습니다. 특히 금융 기업이 먼저 나서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공개하면서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죠. 실제 소비자에게 어떤 평가를 받을지 판단하기엔 아직 이르지만, 마이 데이터 정책 시행 이후 데이터 산업은 활기를 띠고 있는 건 분명합니다. 마이데이터 정책은 언뜻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조치로 보이지만 그렇다고 개인 정보 활용을 막는 조치도 아닙니다. 오히려 기술과 법적 조치를 강화해서 기업이 합법적으로 개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이데이터란 무엇인지, 마이데이터가 데이터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알아보겠습니다. ‘정보주체가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 제공 범위, 접근 승인 등을 직접 결정함으로.. 더보기 은행업무가 순식간에 뚝딱? 금융계가 주목하는 ‘BaaS’ ‘BaaS(Banking as a Service, 서비스형 은행)’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라는 서비스에 비해 아직 대중화되지 않은 용어입니다. BaaS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IaaS를 대표하는 서비스인 AWS(아마존웹서비스)를 살펴보겠습니다. AWS는 인프라를 소유하지 않고 빌려 쓰면서, 비용도 쓴 만큼만 지불한다는 개념을 제시해 인프라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꿨는데요. BaaS도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은행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인프라로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A 항공사가 호텔과 비행기표를 함께 제공하는 상품을 판매한다고 가정해봅시.. 더보기 디지털 금융과 고객 경험(下)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현황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업무 환경은 더욱 복잡해졌고, 방대한 데이터 처리나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그리고 디지털 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는 Digital Transformation 등 오늘날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혁신에 더욱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융복합 산업이 등장하고 그에 따른 기업 가치 사슬(Value Chain)이 재조합되면서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험(Experience)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도 관건입니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비대면•비접촉(Untact) 환경은 우리 경영 환경의 모습을 많이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LG CNS Entrue 컨설팅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고객 경험을 활용해.. 더보기 디지털 금융과 고객 경험(上)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현황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업무 환경은 더욱 복잡해졌고, 방대한 데이터 처리나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그리고 디지털 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는 Digital Transformation 등 오늘날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혁신에 더욱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융복합 산업이 등장하고 그에 따른 기업 가치 사슬(Value Chain)이 재조합되면서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험(Experience)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도 관건입니다. 최근 코로나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비대면•비접촉(Untact) 환경은 우리 경영 환경의 모습을 많이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LG CNS Entrue 컨설팅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고객 경험을 활용해.. 더보기 K-오픈뱅킹’의 클라스! 해외 무대 진출하는 토종 핀테크 금융 시장의 새로운 고속도로망으로 불리는 오픈뱅킹이 어느 정도 자리에 안착하자, 전통 금융사는 물론 국내 빅테크 기업들도 세계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경제성장률이 높고 스마트폰 보급이 빠른 아세안 국가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의 핀테크 기술을 접목한 ‘ICT 수출형’ 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IT 강국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이 오픈뱅킹 채널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혁신을 또 한 번 해외에서 이뤄낼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전통 금융사와 빅테크 기업 간 콜라보, 협업 체제가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픈뱅킹은 모든 핀테크 기업이 개별 은행과 별도의 제휴 없이도 신규 금융 서비스를 원활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한 금융 공동 인프라입니다. 계좌 조회, 이체 등 핵심 금융 서비스를 표준화해 오픈 AP.. 더보기 마이페이먼트(PISP) 전쟁, 한국 금융 인프라 지형도 바뀐다. 최근 정부가 데이터 3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올 하반기 본격 시행되는 마이데이터 사업 도입을 위한 세부 요건을 마련한 셈입니다. 이 중 눈에 띄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바로 ‘마이페이먼트(MyPayment)’라는 단어입니다. 마이페이먼트는 금융 시장의 지각 변동을 가져올 ‘지급 지시 서비스업’을 의미합니다. 다소 어렵게 보일 수 있지만 쉽게 풀어쓰면 소비자가 결제 자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결제를 할 수 있는 핀테크 기반 혁신 서비스입니다. 정부는 올 하반기 마이페이먼트 사업 확대를 위해 지급 결제 개시 서비스 사업자(PISP) 라이선스 제를 도입합니다. 이제 소비자는 PISP를 거치면 로그인 한 번만으로 모든 계좌를 활용해 결제, 송금이 가능해집니다. 전통 금융사에 높은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