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앱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빌리티로 도시 문제 해결을, 콜럼버스 스마트시티 지난 2016년 미국 스마트시티 챌린지에서는 오하이오주의 콜럼버스(Columbus) 시가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이후 스마트시티 챌린지에 참여했던 여러 도시는 다양한 혁신을 이뤄가고 있는데요. 미국 교통부(USDOT,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가 주관해 진행된 스마트시티 챌린지는 주로 모빌리티 관련 이슈를 다루고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모빌리티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 도시 균형 발전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고민하고 있는데요. 구도심과 신도심의 균형 발전, 취약 계층을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이동 약자를 위한 편의 제공 등 모빌리티의 혁신을 통한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들도 의미가 있습니다. 빅데이터와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해서 도시.. 더보기 차키 없어도 OK! 스마트폰으로 운전한다 스마트폰의 빠른 발전으로 많은 휴대용 기기들이 스마트폰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자동차 키도 마찬가지인데요. 물리적인 자동차 열쇠에서 휴대용 스마트키로 진화했고요. 더 나아가 자동차를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기술들이 서서히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애플이 아이폰을 이용한 디지털 키 서비스를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이러한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키는 새로운 사용성을 제공해 주면서 새로운 시장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 키를 흡수하는 스마트폰의 최근 기술 트렌드와 향후 서비스 방향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키의 등장 스마트키의 등장은 자동차 사용을 한층 편리하게 해 주었습니다. 전에는 열쇠처럼 생긴 자동차 키로 차를 열고, 차의 시동을 걸었었는데요. 스마트키가 등장하.. 더보기 AI, 미디어 산업 ‘일자리 킬러(Killer)’ 논란, 상생의 길은? 최근 미국 미디어 업체 ‘아이하트라디오(iHeartRadio)’가 실시한 직원 해고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아이하트라디오는 미국 전역에 8백50개의 라디오 방송국을 거느리고 있고, 청취자 수가 무려 2억 7천만 명에 달할 만큼 큰 방송사입니다. 요즘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가 대세가 되면서 라디오가 퇴물 취급을 받는 게 현실입니다. 하지만 아이하트라디오는 음악 또는 토크쇼 라디오 프로그램 등을 통해 여전히 많은 이들로부터 사랑을 받는 ‘특별한’ 미디어입니다. 라디오 방송 업체들은 유명인들이 제작한 프로그램을 구입한 뒤 미국 전역의 청취자에게 방송을 보냅니다. 얼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신년 국정연설 도중 보수 성향의 라디오 진행자 러시 림보에게 ‘대통령 자유의 메달’을 수여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 더보기 드론이 커피 배달하는 시대, 향후 넘어야 할 과제는? 무인항공기 ‘드론’은 향후 10년간 세상을 얼마나 바꿀 수 있을까. 최근, 이 질문이 정보통신기술 업계뿐 아니라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 계기 중 하나로 4월 23일 발표된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보도자료를 들 수 있습니다. FAA는 보도자료를 통해, 구글의 드론 전문 자회사인 ‘윙(Wing) 에비에이션’이 드론을 이용해 택배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사상 최초로 무인항공기를 통해 상업적으로 물건을 배달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입니다. 상업용 드론에 대한 관심이 촉발된 계기는 지난 2013년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가 CBS 뉴스 프로그램 ‘60 Minutes’에 출연해 “향후 5년간 드론 택배가 일상화될 것”이라고 선언했을 때입니다. 5년 후 .. 더보기 새로운 소매 유통 실험, 무인•로봇 자동화 점포 올해 1월 아마존이 계산원과 계산대가 없는 무인점포 '아마존 고(Amazon Go)'를 공식 오픈한 데 이어 가을쯤 시애틀에 2호점을 오픈할 예정입니다.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컴퓨터 비전 등 첨단 기술을 동원한 무인점포 아마존 고가 등장한 이후 미국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소매 유통 실험들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들 신유통 실험은 우리에게 미래의 상점 모습을 미리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무인점포를 위한 시도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은 알리바바 그룹 자회사인 신선식품 전문 유통회사인 '허머(Hema)셴성'을 통해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허머셴성은 얼마 전 상하이 난샹 매장에 로봇 자동화 시스템으로 움직이는 로봇 레스토랑을 구축했습니다. 허머셴성은 슈퍼마켓과 대형 할인..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