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IoT 플랫폼(Platform)의 모든 것! 플랫폼(Platform)의 사전적 의미는 기차역의 승강장을 뜻하나 그 의미가 확대되어 특정 장치나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초 틀 또는 골격을 지칭하는 용어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많은 사람이 쉽게 이용하거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자동차 등 하드웨어 생산 과정뿐만 아니라 IT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반이 되는 OS나 기술 환경들을 말하기도 합니다. 플랫폼이 산업에 처음 도입된 건 TV, 자동차 등 하드웨어 제품을 일관된 품질로 ‘대량생산’하기 위해 ‘프로세스’와 ‘자동화’를 시작하면서부터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스킬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지 않게 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낮은 원가로 만들 수 있게 해 주었고, 이러한 프로세스와 장치를 ‘플랫폼’이.. 더보기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 시큐어 코딩 사이버 공격 기술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해커들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내 공격하는데요. 다음 그림은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통해 공격하는 패턴입니다. DB와 연동된 소프트웨어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지 않는다면, SQL문을 조작하여 DB에 저장된 열람 권한이 없는 정보들에 접근할 수 있거나, 디렉토리 경로 조작을 통해 서버 내 주요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l SQL 삽입: 웹페이지에서 입력이 가능한 부분에 공격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공격 시도 l 디렉토리 경로 조작: 접근 제한 영역에 대한 경로 문자열 구성, 정보 누출 유발 시큐어 코딩(Secure Coding)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코딩 시에 개발자의 실수나 오류, 약점 또는 취약점이 삽입되지 않.. 더보기
우리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 IoT IoT라는 단어가 대한민국 IT업계에 키워드로 회자되기 시작한 이후로 만 3년이 지났는데요. 스마트 시대를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IoT는 과연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을까요? 사실 일반인에게 IoT라는 단어는 아직 낯설게 느껴집니다. 아직까지 우리의 삶에 IoT가 깊숙이 자리 잡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스마트 시대 초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와 서비스(Service) 분야에서 스마트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 애플(Apple)이라는 업체가 있었고, 후발업체들은 이를 copy & development 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스마트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었죠. 하지만 IoT는 선두주자로 나설만한 디.. 더보기
챗봇으로 만든 대화형 커머스 '톡 주문' 챗봇(ChatBot) 3편에서는 챗봇을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자동화된 대화형 커머스 서비스를 구현한 LG CNS의 톡 주문 서비스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LG CNS는 '톡 주문 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작년 11월 19일에 GS SHOP을 통해 채팅 방식으로 완전히 자동화된 주문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켰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모바일 메신저 챗봇이 주목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채팅으로 TV 홈쇼핑 상품을 주문한다는 개념이 매우 생소했었죠. 필자 또한 백엔드 시스템에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상품을 주문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확신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구현 가능하다면 세상에 둘도 없는 이 독특한 서비스를 세상에 내놓고 싶었습니다. 필자가 채팅으로 TV 홈쇼핑 상품을 주문하는 서비스를 발상하.. 더보기
챗봇, 이렇게 활용할 수 있다! 1편에서 챗봇(Chatbot)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번 편에서는 실제 챗봇을 이용해 구현한 서비스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챗봇이 이슈가 되면서 각종 언론에서는 해외 사례를 많이 언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도 카카오톡 챗봇API(자동응답 API)를 이용해 미디어, 금융, 유통, 가전 등 다양한 업종에서 서비스를 구현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챗봇은 기존 PC 메신저에서도 존재했던 API 기술이었기 때문에 챗봇을 활용한 서비스 사례들이 제공되고 있었죠. 다만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은 탓에 챗봇이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서는 국내에서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챗봇 서비스 사례 위주로 정리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 더보기
IoT 보안 취약점 진단 A to Z 작년의 IoT(Internet of Things) 보안에 대한 기고에서는 일반적인 IoT 보안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대책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의 IoT 보안 취약점 보고 사례를 살펴보고, 보안 진단으로 출시 전 대응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IoT 보안 취약점 보고 사례 2015년 화이트해커의 컨퍼런스인 BlackHat에서 한 연구원이 지그비(ZigBee) 보안 결함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시 해킹 대상이 된 IoT 디바이스로는 도어락, Smart 기기, 전구였고, 지그비라는 근거리 무선 프로토콜을 재접속 시에 암호화키 교환을 평문(Plaintext)으로 하는 경우 짧은 시간이지만 키가 노출됐다고 합니다. 전파 방해 공격(Jamming)을 하게 되면 .. 더보기
금융 정보계에 HIA 도입의 필요성, Why? 금융 정보계는 전사에서 발생하는 모든 업무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분석 View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계층별로 분석 목적에 맞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빅데이터(Bigdata)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데이터의 유형도 RDBMS(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중심의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로그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 비정형 데이터까지 분석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l 금융 정보계의 발전 방향 기술적으로는 오픈 소스 기반의 Hadoop 기술들이 성숙되어감에 따라 오픈 소스라는 불안감을 불식시키고 전사에서 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어, 기존 정보계가 가지고 있는 한계(고가의 시스템, .. 더보기
환경보호와 편리함을 동시에 LG CNS MPost!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홍보하거나, 안내하고자 할 때 우편을 통해서만 알릴 수 있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이 밖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서 매일 보는 신문 사이에 전단지를 넣거나, 길거리에서 전단지를 나눠주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그 당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은 집을 통해서만 이루어졌고, 개인에게 바로 전달될 수 있는 수단은 대면으로만 가능했습니다. 이제 스마트폰 혹은 개인용 휴대전화는 개인에게서 뗄 수 없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휴대전화의 전화번호는 각 개인을 대표하는 중요한 개인 정보가 되었죠. 때로는 지인과 직접 소통하기 위한 채널로서, 때로는 기호나, 취미,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채널로 확장되었습니다. 그리고 기업이 개인에게 기업 서비스에 대한 정보나 홍보 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