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블록 갖고 놀던 우리 아이, ‘코딩 천재’ 되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코딩)은 더는 성인들만 배우는 어려운 과목이 아닙니다. 프로그래밍이 이미 초등학교에 정규 과목에 들어간 것을 보면 알 수 있겠죠. 이렇듯 코딩 교육이 널리 퍼질 수 있었던 이유는 새로운 교육 방법들이 뒷받침됐기 때문입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어린이도 이해할 수 있는 코딩 교육 도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오늘은 유치원생,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시각 장애 학생까지 이해할 수 있는 코딩 교육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피지컬 코딩(Physical Coding), 언플러그드 코딩(Unplugged Coding)이라고 불리는 교육 개념입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손으로 직접 만지며 배우는 코딩 교육 피지컬 코딩이란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만드는데 집중한 코딩 교육입니다. 다른.. 더보기 뇌와 컴퓨터의 연결! ‘신경 먼지’시대가 온다 영화 '매트릭스'는 2199년 인공지능(AI)이 인간을 지배하는 가상 현실 세계에 대한 공상과학(SF) 영화입니다. 인간 세상을 장악한 AI는 사람들이 태어나면 뇌 세포에 매트릭스라는 프로그램을 입력해 인간을 철저하게 통제합니다. 인간이 보고 느끼는 것들은 항상 그들의 검색 엔진에 노출되어 있고, 인간의 기억 또한 그들에 의해 입력되고 삭제됩니다. 이 같은 놀라운 영화 속 이야기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움으로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컴퓨터 칩’ 심은 ‘사이보그 돼지’ 탄생 미국의 벤처기업 뉴럴링크(Neuralink)는 ‘거투르드’라고 하는 돼지의 뇌에 8㎜짜리 컴퓨터 칩을 이식한 뒤 돼지의 뇌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에 성공했습니다. ‘링크 0.9’라는 이름의 뉴럴링크 칩은 동전 크기(23㎜ x.. 더보기 차키 없어도 OK! 스마트폰으로 운전한다 스마트폰의 빠른 발전으로 많은 휴대용 기기들이 스마트폰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자동차 키도 마찬가지인데요. 물리적인 자동차 열쇠에서 휴대용 스마트키로 진화했고요. 더 나아가 자동차를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기술들이 서서히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애플이 아이폰을 이용한 디지털 키 서비스를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이러한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키는 새로운 사용성을 제공해 주면서 새로운 시장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차 키를 흡수하는 스마트폰의 최근 기술 트렌드와 향후 서비스 방향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키의 등장 스마트키의 등장은 자동차 사용을 한층 편리하게 해 주었습니다. 전에는 열쇠처럼 생긴 자동차 키로 차를 열고, 차의 시동을 걸었었는데요. 스마트키가 등장하.. 더보기 2018, IT와 금융의 융합 #13 비콘, 스마트 결제 시장 핵심으로 부상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점포를 보유한 인천 부평지하상가. 이곳은 1400여 개 점포가 들어서 있는 쇼핑 메카입니다. 이곳에 한 번 들어가면 나오기도 쉽지 않습니다. 출구만 30개가 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곳에서 원하는 상점을 바로 찾기란 어렵습니다. 지하에서는 GPS가 잡히지 않고, 무선랜으로도 정확한 위치를 알기도 어렵죠. 이럴 때 필요한 IT 기술은 무엇일까요? 바로 근거리 무선통신 비콘(Beacon) 기술입니다. 비콘은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비콘은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4.0(BLE)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수신기로 보통 5cm부터 50m까지 거리를 .. 더보기 LG CNS, 지능형 보안 솔루션 출시 LG CNS가 첨단 IT 기술이 접목된 지능형 보안 솔루션 2종을 출시했습니다. 이번에 출시한 지능형 보안 솔루션은 인공지능과 스마트폰 제어 기술 등을 활용해 사람과 문서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지능형 출입카드 발급시스템’과 ‘지능형 출력물 보안 솔루션’입니다. 방문객 출입의 보안과 속도를 한 번에 잡은 ‘지능형 출입카드 발급시스템’ LG CNS ‘지능형 출입카드 발급시스템’은 기업의 출입 보안을 강화하고 방문객 출입 인증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해주는 신개념 출입 시스템인데요. ‘지능형 출입카드 발급시스템’은 신분증 인식•QR코드 인식•Visitor ON 기술 등 첨단 IT 보안 기술로 구성됐습니다. 현재 대부분 기업의 출입을 위해서는 안내데스크에 신분증 제출 후 본인 확인 과정을 거쳐 출입카드를 발.. 더보기 IoT 세상을 향한 관문: IoT Gateway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흥미로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커넥티드 디바이스(Connected Devi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보통 IoT 도어락, IoT 체중계 등 사물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말하곤 합니다. 하지만 사물 못지않게 IoT 서비스에서 중요한 요소가 바로 IoT 게이트웨이(Gateway)입니다. IoT 게이트웨이는 연결된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터넷 영역으로 전달하며, 외부에서 각각의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역할을 하는 일종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IoT 사물들이 소형, 저전력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처리 능력(Processing Power)과 메모리 등에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IoT 게이트웨이를 두게.. 더보기 IoT 보안 취약점 진단 A to Z 작년의 IoT(Internet of Things) 보안에 대한 기고에서는 일반적인 IoT 보안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대책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최근의 IoT 보안 취약점 보고 사례를 살펴보고, 보안 진단으로 출시 전 대응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IoT 보안 취약점 보고 사례 2015년 화이트해커의 컨퍼런스인 BlackHat에서 한 연구원이 지그비(ZigBee) 보안 결함을 발표하였습니다. 당시 해킹 대상이 된 IoT 디바이스로는 도어락, Smart 기기, 전구였고, 지그비라는 근거리 무선 프로토콜을 재접속 시에 암호화키 교환을 평문(Plaintext)으로 하는 경우 짧은 시간이지만 키가 노출됐다고 합니다. 전파 방해 공격(Jamming)을 하게 되면 .. 더보기 IoT 시대의 스마트홈 ! LG CNS 셋톱박스가 이끌어 갑니다. - 케이블 TV 20주년, 'KCTA 전시회' 관람기 2편 -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최태림입니다. 앞서 1편에서 양소정 학생이 KCTA 전시회 현장 분위기와 참가한 기업의 부스별 행사 등을 소개해 주었는데요. 특히 미래관에 전시된 스마트홈은 많은 관람객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던 만큼, 여기에 중점을 두고 미래의 케이블 TV 기술 활용 모습을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LG CNS는 자사의 제품인 셋톱박스를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IoT) 상용화 사례로 스마트홈을 전시한 것인데요. LG CNS의 기술이 '집'이라는 공간에서 어떠한 편리함을 제공해 주는지 지금부터 한번 만나 보시죠! 1) 스마트홈의 '현관': 문을 열기 위해 두 동작 이상 할 필요가 없어요! 현재 대부분의 현관문은 크게 두 종류의 잠금 장치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로 '열쇠 잠금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