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고채널 썸네일형 리스트형 썸타는 새내기의 하루 속 LG CNS 기술 ● 해외 드라마, 언제 어디서나 '망고채널' 하나면 OK! http://blog.lgcns.com/472 ● 천만 시민의 발! 서울시 교통 시스템 일일 체험기 http://blog.lgcns.com/438 ● 해외에서도 만나는 LG CNS의 스마트 교통카드 http://blog.lgcns.com/487 썸타는 친구들을 태그하는 그 순간! 여러분의 썸에도 그린라이트가 켜집니다. 참여하신 분 중 추첨을 통해 5명에게(1인 2매) 스타벅스 키프티콘을 드립니다. 지금 바로! 아래 'LG CNS 페이스북 바로가기' 를 클릭해주세요! * 이벤트 기간 : 2014년 5월 29일 ~ 6월 4일까지 * 당첨자 발표 : 2014년 6월 10일 더보기 해외 드라마, 언제 어디서나 '망고채널' 하나면 OK!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정다애입니다. 2014년 1월, 인기 검색어 순위를 뜨겁게 달군 키워드는 바로 영국 인기드라마 '셜록'이었습니다. 당시 셜록 시즌3 1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밤잠을 설친 국내 팬들이 정말 많았는데요. 특히 많은 여성들이 드라마에서 셜록 역을 맡고 있는 베네딕트 컴버배치(Benedict Cumberbatch)에 매료되어 새로운 시즌이 시작되길 손꼽아 기다렸습니다. 해외 드라마는 탄탄한 스토리 라인과 리얼한 영상미로 '영드, 미드 폐인'이라는 말을 낳으며 두터운 팬 층을 쌓아 가면서 어느덧 우리에게 친숙한 문화 콘텐츠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영드’, ‘미드’가 방영을 시작했다고 해서 바로 시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여러분에게 미드와 영드를 가장 간.. 더보기 보고 싶은 해외 드라마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즐긴다! - 망고채널 체험기 - 최근 모바일 단말기의 성능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이 높아지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 또한 발전하고 있습니다. 과거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로 옮긴 후, 감상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으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스트리밍으로 바로 동영상을 보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무선 인터넷이 3G에서 LTE(최근에는 LTE-A까지 등장하고 있지요)로 넘어가 동영상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속도가 보장되면서 고화질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점점 사람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YouTube의 HD급 동영상 감상도 그 중에 하나이며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TV 중계도 HD로 감상이 가능한 시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재미있는 서비스 하나가 눈에 띄고 있어 소개해 드.. 더보기 해외 드라마의 중심, 망고채널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인기몰이 중인 해외 드라마,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문화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그러나 한국에서 해외 드라마를 즐겨 보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예전부터 입니다. 비디오테이프에 녹화해놓고 테이프 늘어날 때까지 돌려봤던 ‘X파일’이나, 주제곡을 흥얼거리면서 드라이버로 라디오를 분해하며 따라 한 ‘맥가이버’, 무서운 장면이 아직까지 생생한 ‘V’까지… 기억을 더듬어보면 적잖은 수의 해외 드라마들이 방영되었고 큰 인기를 끌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TV 정규방송을 통해서나 접할 수 있었던 해외 드라마를 컴퓨터로 볼 수 있게 된 건 10여 년 전인 2000년 초반이었습니다. 인터넷이 발달과 함께 무료 혹은 무료에 가까운 금액으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대중.. 더보기 해외 드라마의 중심, 망고채널 젊은이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인기몰이 중인 해외 드라마,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문화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그러나 한국에서 해외 드라마를 즐겨 보기 시작한 것은 상당히 예전부터 입니다. 비디오테이프에 녹화해놓고 테이프 늘어날 때까지 돌려봤던 ‘X파일’이나, 주제곡을 흥얼거리면서 드라이버로 라디오를 분해하며 따라 한 ‘맥가이버’, 무서운 장면이 아직까지 생생한 ‘V’까지… 기억을 더듬어보면 적잖은 수의 해외 드라마들이 방영되었고 큰 인기를 끌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TV 정규방송을 통해서나 접할 수 있었던 해외 드라마를 컴퓨터로 볼 수 있게 된 건 10여 년 전인 2000년 초반이었습니다. 인터넷이 발달과 함께 무료 혹은 무료에 가까운 금액으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