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상님 사진이 움짤로? AI 사진 프로젝트 딥 노스탤지어 지난 2월에 온라인 족보 플랫폼인 마이헤리티지(MyHeritage)는 '딥 노스탤지어(Deep Nostalgia)'라는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딥 노스탤지어는 스틸 사진을 움직이는 사진으로 만들어주는 서비스로, 얼굴의 움직임이 녹화된 비디오를 사용합니다. 해당 스틸 사진에 가장 적합한 영상을 적용해 얼굴에 시선이나 표정을 더합니다. 덕분에 사진으로 고인이 된 사랑하는 사람의 생동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이헤리티지는 이스라엘의 AI 스타트업인 D-ID가 제공한 AI 영상을 활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날, 생체 데이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CCTV 등 사진이나 영상물로 저장되는 얼굴에 관한 개인 정보 보호법도 강화하고 있는데요. D-ID가 개발한 안면 이미지 식별 솔루션.. 더보기 [보안동향] 디지털 뉴딜 ‘K-사이버 방역’ 어디까지 왔을까? 90여 년 전 대공황 극복을 위해 미국이 추진했던 뉴딜(New Deal) 정책(1933년~1936년)을 차용해 우리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작년 4월에 발표했습니다. 5월에는 추진 방향을, 7월에는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잇따라 내놓았습니다. 코로나19사태로 인해 ‘대 대공항(Greater Depression)’이라는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 최대한 빠른 극복과 대전환을 위해 ‘디지털 뉴딜’ 과 ‘그린 뉴딜’과 이를 뒷받침하는 ‘안전망 강화’의 3개 정책 방향으로 구체화됐습니다. ※ 대 대공항(Greater Depression): “대공황 수준이 아니다. 대 대공황(Greater Depression)도 가능하다!" 경영학자 루비니 뉴욕대 교수의 예측 지금부터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 정책에 대해.. 더보기 실리콘밸리, AI로 조작한 동영상 ‘딥페이크’ 퇴치 위해 뭉쳤다 2017년 말에 있었던 일입니다.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Reddit)’에 한 회원이 ‘딥페이크 (Deepfakes)’라는 이름으로 포르노 동영상을 올렸습니다. 동영상에는 포르노 배우들의 얼굴에 스칼렛 요한슨, 엠마 왓슨 등 유명 여배우들의 얼굴이 합성돼 있었습니다. 해당 영상들은 순식간에 퍼졌지만, 얼마 안 돼 가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한낱 소동으로 끝이 났습니다. 이 사건은 디지털 시대에 거짓 동영상이 얼마나 쉽게 만들어지고 확산될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조작된 동영상을 지칭하는 이른바 ‘딥페이크’ 시대의 출발점이기도 했습니다.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인 딥페이크는 어떤 사람이 어떤 말이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