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썸네일형 리스트형 AI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을까? 수많은 학습 데이터를 주기만 한다면, 딥러닝은 문제를 잘 풀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개의 카테고리에 대해 130만 장의 분류된 이미지가 있는 ImageNet 태스크에 대해 딥러닝 알고리즘은 Top 5 기준 98% 이상의 정확도를 달성하며 사람의 판별 정확도를 뛰어넘었습니다. 하지만 태스크에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비쌉니다. 세상에는 이미지가 넘쳐나지만, 각각의 이미지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사람이 일일이 분류해 라벨을 만드는 것은 오래 걸리고 힘이 듭니다.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그리고 자기 지도 학습 데이터와 라벨이 주어질 때 라벨을 이용해 태스크를 수행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이미지 분류, 양불판정, .. 더보기 코지와 알아보는 AI 2019년 10월 28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데뷰 2019’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IT 강국을 넘어서 AI 강국이 되겠다.”라는 기조 연설을 통해 정부의 AI에 대한 기본구상과 추진 전략을 밝혔는데요. l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이 개발자 콘퍼런스에 참석한 것은 취임 후 처음인데다가, “AI 정부가 되겠다.” 등 여러 가지 AI 관련 계획을 발표해, 정부의 AI 산업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서울시 교육청도 2020년을 인공지능(AI)의 원년으로 삼고, 교사 육성, AI 맞춤형 교육, AI 전문 고교 전환 등 AI 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당연히 AI가 우리나라만의 화두는 아니겠지요. 트럼프 미 대통령은 2019년 2월, AI In.. 더보기 딥러닝, 데이터로 세상을 파악하다(2) 지난 시간의 펫 카페 사장의 고민 예제에 이어 딥러닝 기반의 AI에 대해 설명을 계속하도록 하겠습니다. ● 딥러닝, 데이터로 세상을 파악하다(1) 지난 편을 확인하지 못하신 분들은 위를 클릭해 ‘딥러닝, 데이터로 세상을 파악하다(1)’편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딥러닝 기반의 AI, 자동화 패러다임의 전환 위의 두 가지 방식(룰 기반, 머신러닝 기반)은 사람이 생각했을 때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분하는 주요 특징들을 기계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그런데 아래 몇가지 특이한 케이스를 보겠습니다. l 강아지처럼 귀가 접힌 스코티시폴드, 박스를 좋아하는 시베리안허스키, 모든 특징이 가려진 고양이 이 데이터들은 우리가 정의했던 강아지와 고양이의 특징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몇몇 특정 케이스에 대해 예외 규칙을 추.. 더보기 딥러닝, 데이터로 세상을 파악하다(1) 최근 몇 년 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산업계에서 가장 화두가 되는 단어 중 하나는 바로 AI(Artificial Intelligence), 즉 인공지능입니다. ‘인공지능’이라 함은 넓은 의미에서는 인간의 합리적인 사고나 행동을 모방해 자동화한 프로세스를 일컫는대요. 간단하게 생각하면 숫자와 연산기호 버튼만 눌러서 자동으로 값을 계산해 주는 계산기도 일종의 인공지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인간이 매번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셈을 계산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계산을 도와주니까요. 하지만 이런 자동화 프로그램은 예전부터 있었으며, ‘인공지능’이라고 거창하게 부르지도 않았습니다. 최근에 학계와 산업계에 불고 있는 AI 열풍은 이렇게 단순히 ‘규칙의 자동화’를 지칭하는 넓은 의미의 인공지능이 아닐 겁니다. AI, M.. 더보기 인공지능(AI)이란 무엇인가? 여러분은 인공지능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신가요? 아직도 많은 사람이 영화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공지능을 쉽게 떠올리곤 합니다. 요정 동상 앞에서 소원을 비는 로봇이나(영화 ‘AI’), 생존에 위협을 느낀 나머지 인간을 공격하는 시스템(영화 ‘매트릭스’)처럼 말이죠. 이것도 물론 인공지능이 맞습니다. 이처럼 인간처럼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강인공지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게 다가 아니죠. AI 스피커나 은행 챗봇, 이미지 분류 등 우리가 이미 접하고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는 성격이 많이 다릅니다. 한 가지 특정 능력에만 특화되어 있죠. 지난 2016년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승리한 ‘알파고’가 대표적입니다. 알파고는 바둑은 잘 두지만 피아노를 치거나 그림을 그리지는 못합니다. 이처럼 .. 더보기 양자 컴퓨터로 게임을 만들면 어떨까?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은 1980년대에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를 예견했습니다. 최근에는 많은 기업의 투자와 여러가지 성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활용 사례는 찾을 수 없습니다. 범용적인 양자 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 풀어야 할 물리적인 문제가 잔뜩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확히는 트랜지스터로 구성한 논리 회로가 이진수 연산을 하는 것입니다. 트랜지스터의 역할은 정보가 지나는 통로의 스위치입니다. 스위치로 통로를 닫거나 열어서 0과 1로 지정된 신호를 만드는 거죠. 우리는 그 신호를 비트(Bit)라고 부릅니다. l IBM 양자 컴퓨터 (출처: https://www.ibm.com/quantum-c.. 더보기 한눈에 살펴보는 IT 트렌드 (20년 2월) 2020년 2월에는 어떤 IT 트렌드 소식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2월 한 달 동안 있었던 IT 소식 중 LG CNS 블로그 독자님들과 함께하고 싶은 소식을 중심으로 전해드리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그럼 2020년 2월 한눈에 살펴보는 IT 트렌드! 시작하겠습니다. 인공지능 기술로 가짜 한약재 감별 국내 연구진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가짜 한약재를 감별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원장 김종열)은 한약자원연구센터 최고야 박사와 동신대 한의학과 이숭인 교수 공동연구팀이 딥러닝 기법을 활용해 외형으로 구별이 어려운 한약재의 감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딥러닝은 사람의 사고방식을 컴퓨터에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방법입니다. 연구팀은 비전문가.. 더보기 인공지능의 확산을 보여 준 CES 2020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산업의 발전도 이끌고 있는데요. 이번 CES 2020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은 더욱 확산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CES 측은 2020년대를 데이터의 시대로 규정한 바 있는데요. 5G, IoT, AI의 융합에 따라 산업의 변화, 생활의 변화가 더욱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욱 확산한 인공지능 기술, CES 2020의 인공지능 기술 동향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ES가 예상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 CES 측은 사전 행사로 열린 ‘2020년 주목해 볼 기술’ 행사에서 ‘사물인터넷에서 사물 인텔리전스로의 진화’, ‘인공지능의 상품화 가속’, ‘커넥티드 인텔리전스’, ‘스마트홈 적용 확산’을 강조했는데요. 사물들이 연결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스스로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