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 비상! 글로벌 컴플라이언스에 대응하려면? (上)
2018년 EU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시행 이후, 2019년도에는 중국이 네트워크 안전법 세부 시행 방법들을 활발하게 발표했고, 올해에는 CCPA(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캘리포니아 소비자 보호법) 및 국내 데이터 3법 통합이 시행되었습니다. 우리가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입장에서 주요 이해 당사국에만 주목을 하고 있지만, 그 범위를 넓혀보면 2018년도 이후에 중남미(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멕시코 등), 아시아(대만,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중동 및 아프리카(바레인, 나이지리아 등) 등 전 세계에서 “데이터 전쟁”이라 표현 할 수 있을 만큼 모든 국가가 관련 법들을 정비하고 있습니다. 본 ..
더보기
업무 메일 열어보니 해킹?! 재택근무 시 지켜야 할 보안 수칙
코로나19 유행 초기, 잠시 위기가 있었으나 전 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훌륭한 방역 체계와 성숙한 시민 의식을 통해 심각한 사태를 벗어나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금씩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여전히 조심스러웠지만, 코로나 1차 확산 당시 재택근무를 하던 많은 회사도 이전처럼 다시 일터로 출근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1차 확산 당시에 국내 기업 중 LG, 삼성, 현대, SK, 롯데, 네이버, 카카오 등이 원격근무 환경이 갖춰진 대기업을 중심으로 재택근무로의 전환이 시작되었고 한화, 엔씨소프트, 쿠팡 등은 출근조와 재택조를 나누어 순환하는 방식으로 부분적인 재택근무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글로벌 기업인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글로벌 기업들도 연말까지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권장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