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NS Story

AI 서비스도 입맛대로 골라 쓴다

LG CNS가 입맛대로 골라 쓰는 기업용 ‘AI(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을 선보입니다. LG CNS는 15일 오후 2시부터 AI 서비스 플랫폼 관련 웹 세미나를 개최하고, LG CNS가 제공하는 AI 서비스와 실제 적용 사례 등을 소개합니다.

 

LG CNS의 AI 서비스 플랫폼은 시각 AI 3종, 언어 AI 6종, 복합 AI 1종 등 10대 AI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새롭게 오픈한 AI 서비스 포털(ai.lgcns.com)에 접속해 이용이 가능하며, 기업이 업무 처리 시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Pain point)을 해결하는 AI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AI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AI 쇼핑몰’을 만든 것입니다.

 

배송하기 전에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제대로 구성됐는지 신속하게 확인하고 싶은 기업은 시각 AI의 ‘상품인식’을 활용하면 됩니다. AI가 0.1초 만에 어떤 제품인지 상품 구성을 정확히 확인합니다. 폭증하는 주문에도 신속한 배송이 가능합니다.

 

수십만 개의 직원용 교육 자료를 직급별, 직무별로 분류하고 싶은 기업은 언어 AI의 ‘문서유형 분류’를 선택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하루(약 20시간)에 10만 건의 문서를 원하는 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건당 약 0.7초가 걸리는 셈입니다.

 

LG CNS의 모든 AI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의 웹(Web) 서비스입니다. 기본적으로 별도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 없으며, 인터넷만 연결되면 모든 A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에 특정 주소(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넣으면 ‘상품인식’, ‘문서유형 분류’ 등 AI 기능이 작동합니다.

 

l LG CNS ‘AI 서비스 플랫폼’ 10대 서비스

 

LG CNS는 시각 AI 중 하나로 이미지를 인식해 불량품을 판독하는 ‘AI 비전검사’와 언어 AI 영역으로써 고객 문의에 대한 응대가 가능한 ‘AI 챗봇’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사용자는 이 서비스를 직접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장의 공정관리부서 인력은 AI 서비스 포털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AI 비전검사를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AI 챗봇은 코딩 없이 대화 시나리오를 만들기 때문에, 상담부서 등 현업에서 일하는 인력도 개발자의 도움 없이 대화의 흐름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모든 개발 환경은 크롬과 같은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제공합니다.

 

이날 웹 세미나에서 LG CNS는 전지 외관의 불량 여부 판독 과정에서 AI 비전검사를 도입해 판독 정확도를 99.5%로 끌어올린 LG화학 사례 및 AI 챗봇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KB국민은행 사례를 소개합니다.

 

모든 AI 서비스는 ‘AI 서비스 포털(ai.lgcns.com)’의 우측 상단 문의하기를 통해 이용 신청이 가능하며,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Pay-Per-Use) 방식입니다. LG CNS는 향후 새로운 AI 서비스를 지속해서 선보일 계획입니다.

 

LG CNS CTO 김홍근 전무는 “어떤 AI 서비스를 도입해야 할지 고민하는 기업들이 많다.”라며, “이번에 선보인 LG CNS의 AI 서비스 플랫폼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LG CNS ‘AI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적용 예시 #1 시각 AI / 상품인식: 전자상거래 기업 A사는 최근 온라인 배송이 폭증하고 있다. 현재 물류센터에서는 배송 전에 상품 구성이 제대로 됐는지 일일이 바코드를 찍어서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보다 신속한 배송을 하고 싶다.▶ A사는 LG CNS AI 서비스 플랫폼의 ‘AI 상품인식’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을 통해 0.1초 만에 상품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폭증하는 주문에도 신속한 배송을 할 수 있다.

 

#2 시각 AI / 얼굴인식: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제조업 B사는 얼굴인식 등 비대면 출입 시스템을 공장에 도입하려고 검토 중이다. 현재 보유 중인 출입 통제 시스템이 있어, 시스템 교체보다는 얼굴인식 기능만 추가하고 싶다.▶ B사는 기존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 ‘AI 얼굴인식’ 기능을 선택한다. 이후 임직원들의 사진을 등록하면, 0.3초 만에 얼굴을 인식하는 출입 제어 서비스를 갖출 수 있다.

 

#3 언어 AI / 문서유형 분류: 교육 전문 기업 C사는 수십만 개 교육 자료를 파워포인트, PDF 등 디지털 문서로 보관 중이다. 이 문서를 직급별, 직종별, 기업별로 다양하게 분류하고 싶다. 하지만 수십만 개나 되는 문서를 일일이 열어보고 정리하는 과정이 큰 부담이다.▶ C사는 ‘AI 문서유형 분류’ 기능으로 수십만 장의 문서를 원하는 대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루에(약 20시간) 10만 개 문서를 분류할 수 있다. 1건당 약 0.7초가 걸리는 셈이다.

 

#4 복합 AI / 출력물 문서보안: 대기업 D사는 신규 시장 진입을 앞두고, 사업 전략 보고서의 외부 유출이 걱정거리다. 특히 문서를 출력한 후 외부로 반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이다.▶ D사는 ‘AI 출력물 문서보안’ 서비스를 활용한다. 이 서비스는 출력되는 모든 문서를 스캔한다. 이미지 인식과 텍스트 인식 등 2가지 복합 AI 기술로 스캔한 문서를 분석하고 

보안 등급을 매겨서 보안 담당자에게 전송한다.

  •  

 

 

 

 

● AI 서비스 포털(ai.lgcns.com)의 우측 상단 ‘문의하기’ 통해 서비스 이용 신청 가능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