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전 세계 어디서나 통하는 차세대 디지털 신분증 개발에 한 발 더 앞장서게 됐습니다.
LG CNS는 분산 신원확인(Decentralized Identity, 이하 DID) 글로벌 기구인 ‘트러스트 오버 아이피 재단’(Trust Over IP Foundation, 이하 ToIP재단)의 운영위원회 멤버(Steering Member)로 8월부터 참여합니다.
ToIP재단은 올해 5월 글로벌 신원인증 체계의 국제 기술 표준과 정책 수립을 위해 설립됐으며, 국제 웹 표준화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이하 W3C)의 표준과 상호 호환이 가능한 DID 표준 모델을 개발해 세계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디지털 신원인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110여개 글로벌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DID 기술 표준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협의체입니다.
ToIP재단의 운영위원회에는 IBM, 마스터카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州(British Columbia), 액센추어(Accenture), 에버님(Evernym) 등 DID 표준 수립을 주도하고 있는 19개 글로벌 기업과 공공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ToIP재단의 운영위원회 멤버로 참여하는 국내 기업은 LG CNS가 유일합니다. 운영위원회는 매월 1회 전체 회의를 통해 DID 표준 및 프로토콜, 거버넌스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최종 심의 및 의사결정을 진행합니다. LG CNS는 ToIP재단의 운영위원회에 참여함으로써 DID 국제 표준 수립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습니다.
LG CNS는 자체 블록체인 기술과 DID 표준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또한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인 모나체인(Monachain) 기반으로 DID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ToIP재단의 표준 기술과 프로토콜을 적극 활용할 예정입니다.
DID는 블록체인 기술로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새로운 기술입니다. 한 번의 신원인증으로 다양한 기관의 서비스를 추가 인증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3법 시행령에 따른 마이데이터를 구현하고, 세계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신분증 개발을 가능케 할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l DID 개념도 예시
LG CNS는 지난 5월 DID의 글로벌 표준 수립에 기여하기 위해 DID 분야 글로벌 전문 기업 에버님과 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양사는 W3C의 DID 표준 수립에 주도적으로 기여하고, 국제운전면허, 여권 등을 대체할 새로운 인증 체계를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하는데 상호 협력하고 있습니다.
LG CNS 이준원 솔루션사업개발담당은 “ToIP재단 운영위원회 참여는 LG CNS가 블록체인 분야에 있어서 글로벌 수준으로 올라왔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ToIP재단에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해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 솔루션과 서비스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CN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서비스도 입맛대로 골라 쓴다 (0) | 2020.10.15 |
---|---|
우리 아이 원어민 영어 친구는 인공지능(AI)! (0) | 2020.09.02 |
"라떼는 말이야..."는 영어로 뭘까? AI에 물어봐~ (0) | 2020.07.28 |
직장인 월급, 이제 AI로봇이 지급해드립니다 (2) | 2020.06.04 |
'K-신분증'의 위엄, 전 세계에 통하는 신분증(DID) 개발 나선다! (2) | 2020.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