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Insight

K-오픈뱅킹’의 클라스! 해외 무대 진출하는 토종 핀테크

금융 시장의 새로운 고속도로망으로 불리는 오픈뱅킹이 어느 정도 자리에 안착하자, 전통 금융사는 물론 국내 빅테크 기업들도 세계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경제성장률이 높고 스마트폰 보급이 빠른 아세안 국가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의 핀테크 기술을 접목한 ‘ICT 수출형’ 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IT 강국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이 오픈뱅킹 채널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혁신을 또 한 번 해외에서 이뤄낼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전통 금융사와 빅테크 기업 간 콜라보, 협업 체제가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픈뱅킹은 모든 핀테크 기업이 개별 은행과 별도의 제휴 없이도 신규 금융 서비스를 원활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한 금융 공동 인프라입니다. 계좌 조회, 이체 등 핵심 금융 서비스를 표준화해 오픈 API 형태로 제공합니다. 최근 아세안 국가에 이미 다수 국내 은행이 진출했고, 거대 빅테크 기업 또한 현지 핀테크 스타트업, 벤처캐피털과 협력해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새로운 핀테크 시장, 아세안(ASEAN) 열린다


아세안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브루아니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연합입니다. 국내 금융사와 빅테크 기업이 아세안에 주목하는 이유는 경제 상황 때문입니다.


아세안 내 경제 규모 상위 4개 국가인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명목 국내총생산을 합하면 약 2.37억 달러에 달합니다. 아세안 국가 평균 경제성장률은 약 5.1%로 경제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금융 계좌를 보유한 인구는 27%에 불과합니다.


캄보디아의 경우 인구 약 5%만이 금융사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은행 계좌가 없어도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른바 핀테크 기반 서비스가 현지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금융 소외 계층 대상으로 다양한 디지털 혁신 금융 서비스가 움텄습니다. 한국이 아세안 국가를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우선 시중 은행이 디지털 채널을 현지에 융합하기 위한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JB금융 등이 오픈뱅킹 기반 현지화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아세안은 시장 규모가 제한적이지만 모바일 기반 금융 서비스 이용 환경이 어느 정도 조성된 국가가 상당수입니다. 최근 캄보디아와 베트남을 필두로 해외 무대 진출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자체 애플리케이션(앱) 리브 플랫폼을 현지화해 ‘리브 캄보디아’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현지 송금 앱인 윙(Wing)과 연계해 수수료를 대폭 낮춰 캄보디아 근로자 대상으로 디지털 기반 송금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도 현지 소셜 기업 잘로(Zalo)와 제휴해 신용카드 발급은 물론 소액신용대출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또 모모(Momo), VN페이 등 현지 핀테크 기업과 손잡고 간편결제는 물론 공과금 납부 서비스 등 특화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하나은행은 2019년, 1조 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 베트남 내 최대 은행 지분 15%를 확보하는 등 현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같은 해 전자 지급 플랫폼인 글로벌 로열 네트워크를 독립 법인화시켜 국내 핀테크 기업은 물론 비자, 마스터 등 글로벌 플레이어와 ‘디지털 연합’을 형성했습니다.


우리은행도 최근 오토바이 운전자 대상의 특화 모바일 모션 뱅킹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다양한 혁신 서비스 창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JB금융지주도 캄보디아에 오픈뱅킹 플랫폼을 자체 구축하고 미얀마, 베트남 등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금융전문가들은 아세안 핀테크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폭발적이라고 평가합니다. 전통 금융 채널 이용 환경은 매우 열악하지만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접근 환경이 대폭 개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약 70% 이상의 소상공인은 지불결제 수단으로 현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아세안 국가 전체 금융 서비스 수입 중 디지털 금융 서비스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에는 그 비중이 최대 17%, 금액으로 환산하면 3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한 디지털 지급 서비스 이용 규모는 2025년에 1조 원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디지털 기반 대출, 보험, 투자 부문도 2025년까지 매년 약 29%, 30%, 41%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빅테크 기업도 속속 해외로! 현지는 오픈뱅킹 전쟁


국내 핀테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ICT 기업 네이버와 카카오는 현지 핀테크 스타트업과 광범위한 제휴를 통해 오픈뱅킹 기반 혁신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자회사인 라인을 통해 소프트뱅크와 협력, 아세안에서 e-커머스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라인은 이미 아세안 다수 국가에서 상당수 이용자에게 SNS 기반 서비스뿐 아니라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소프트뱅크도 아세안 내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 그랩과 손잡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 ‘그랩 페이’를 운영 중입니다.



카카오페이 역시 그랩과 제휴해 카카오 T 앱을 통해 카풀, 오토바이, 택시 호출 서비스 등을 선보이며 몸집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올해 금융당국도 핀테크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를 필두로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현지 진출에 전방위적인 지원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4곳을 선정해 지원에 나섰고 반기마다 유망 기업을 선별해 지원할 계획입니다.


다만 국내 핀테크 기업은 전통 금융사처럼 자금이나 조직이 크지 않아 현지 진출 시 좀 더 특화된 시장에 집중해야 합니다. 바로 언더 뱅크입니다.


언더 뱅크 계층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은행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조차 이용할 수 없는 계층이 약 50%에 달합니다. 또 은행 계좌는 보유하고 있지만 개인 신용 기반 서비스 이용에 제한을 받는 계층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일반 고객 대상 무담보 대출이나 소액 대출의 경우 현지 국민 상당수가 저축률이 높지 않아 서비스 이용이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핀테크 기업은 이 같은 금융 소외 계층 대상으로 오픈뱅킹을 활용해 광범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ICT 전문 기업과 동반 진출 고려해야


디지털 기반 서비스를 현지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IT 개발 역량이 핵심입니다. 오픈뱅킹 관련 사업 자체를 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금융 소외 계층 포용을 위한 플랫폼 고도화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l 국내 시장에서 금융-빅테크 협업 사례 (출처: EY한영)


디지털 현지화 성공의 핵심 요인 중 하나는 역량 있는 ICT 개발 능력을 보유한 기업과 동반 진출하는 것입니다. LG CNS 등 디지털 플랫폼 개발에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과 시장 초기 진입부터 협력을 통해 더욱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효섭 금융결제연구소 연구원은 “현지 시장에 진출해 있는 금융사, IT 기업과 연계해 업무를 추진하거나 현지 기업과 공동으로 관련 서비스를 개발, 홍보 활동을 전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라고 제언합니다.


아울러 규모가 비교적 작은 국내 핀테크 기업은 정부가 운영 중인 지원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일부 국가를 제외한 아세안 대부분 국가 1인당 국민 소득이 비교적 높지 않은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서비스 제공에 따른 매출액이 크지 않더라도 관련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영업 이익을 증가시키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글 l 길재식 l 전자신문 기자(osolgil@etnews.com)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