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의 AI 기술로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하는 시대가 열립니다.
LG CNS가 최근 ‘민간 클라우드 기반 AI 의료 영상 분석 보조 서비스’ 사업 추진을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사업은 과기정통부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선도 프로젝트의 일환이며,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 보건소입니다. 올해 9월 말부터 내년 말까지 서비스가 제공될 계획으로 국내 최초의 AI 보건소가 탄생하는 셈입니다.
이번 사업의 골자는 클라우드 기반 AI 엔진을 통해 94%의 정확도와 20초 이내의 빠른 속도로 엑스레이 영상 판독 결과를 보건소에 제공하는 것입니다. 보건소 의사들의 주 업무 중 하나인 엑스레이 진단을 효과적으로 돕겠다는 것입니다.
은평구 보건소에서 올해 9월 말부터 판독 서비스가 가능한 질환은 폐 결절입니다. 올해 안으로 결핵, 기흉, 폐렴 등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이러한 폐 질환들은 발병 빈도와 사망률이 높아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판독 서비스가 완성되면, 지역 단위의 보건소에서 만성질환에 대한 철저한 사전 관리가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보건소는 외부 전문기관에 엑스레이 영상에 대한 판독을 의뢰하는데, 의뢰 후 결과를 받는 시간이 하루 정도가 소요됩니다. 이번 서비스로 기존 하루 정도 걸렸던 보건소 엑스레이 판독 시간은 20초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무엇보다 은평구 보건소를 이용하는 일반 시민들은 신속하게 판독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한편, LG CNS가 추진하는 이번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입니다.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면 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방식입니다. 엑스레이 기기가 있는 의료기관 어디서나 쉽게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지역 의료 허브 기관인 보건소로의 신속한 확산도 가능합니다.
이번 은평구 AI 보건소의 사업자로 선정된 LG CNS는 지난 30년간 IT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합니다. 의료 AI 스타트업인 ‘루닛’과 함께 협업을 진행하는데, 대기업의 IT 사업 역량과 스타트업의 전문 AI 기술력을 결합한 상생의 사업 모델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큽니다.
LG CNS는 이번 은평구 AI 보건소 모델로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민간주도형 전자정부 서비스 아이디어 공모전’에 응모했고, 기업 부분에서 ‘국무총리상’도 수상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국 254개 보건소로의 AI 의료 영상 분석 서비스 확산을 위한 기반도 마련하게 됐습니다.
또한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상생을 통한 민간 투자로 공공 영역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였다는 점에서 SW 업계는 향후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 추진 방식의 또 다른 구심점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은평구가 정부 과제에 이번 AI 의료 영상 분석 서비스를 최초로 제안해 추진하는 사업”이라며, “9월 전국 최초로 가동하는 AI 보건소를 통해 은평구민을 시작으로 공공 의료 복지 수혜 대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LG CNS 공공사업담당 정운열 상무는 “이번 사업의 궁극적 목적은 예방 중심의 수준 높은 공공 보건 의료 서비스를 최소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라며, “다양한 스타트업들과 협업을 통해 판독 서비스가 가능한 질환 항목을 늘려나가겠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CN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 어디서나 쉽게 AI로 영어 공부한다 (0) | 2019.09.19 |
---|---|
LG CNS, 자사 출신 경력 보유 여성 IT 강사로 육성 (0) | 2019.08.27 |
중학생이 초등학생 코딩 가르친다 (1) | 2019.07.23 |
우리 아이가 먹는 농산물, 블록체인으로 철벽 관리 (0) | 2019.07.09 |
LG CNS, MS와 차세대 업무 혁신 솔루션 개발 추진 (1) | 201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