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NS Story

IT 신기술로 엑스레이(X-ray) 분석 15초에 끝낸다

LG CNS가 공공보건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해 의료 AI 스타트업 루닛(Lunit)과 손잡았습니다.


LG CNS와 루닛 양사는 21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내 LG CNS 본사에서 ‘공공보건 AI 분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정운열 공공사업담당 상무와 서범석 루닛 대표이사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두 회사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를 통해 의료용 엑스레이 영상을 15초 내로 빠르게 분석하는 사업을 추진합니다. 이에 차별화된 기술, 지식, 자원, 사업 역량 등을 공유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합니다.


LG CNS의 강점은 클라우드 구축•운영 역량입니다. 지난해 LG CNS는 '클라우드 인티그레이터(통합 사업자)'를 선언했습니다. 10년간의 클라우드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전략 수립, 설계, 이전, 운영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겠다는 것입니다. 이어 올해 3월에는 IT 서비스 기업 최초로 공공 클라우드(LG G-Cloud) 보안 인증을 획득한 바 있습니다.


l LG CNS 정운열 상무(왼쪽)와 루닛 서범석 대표이사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하는 모습


루닛은 2013년 설립된 의료 AI 기업으로, 지난해 미국 시장조사 기관 CB인사이트가 선정한 ‘전 세계 100대 AI 스타트업’에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습니다. 특히, 루닛은 AI로 흉부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한 뒤 폐 결절로 의심이 되는 부분을 표시해 주는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는 지난 8월 식약처로부터 인허가를 받은 바 있습니다. 향후 결핵, 폐렴, 기흉 등 다양한 폐 질환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받을 예정입니다.


 엑스레이 영상을 15초 내 분석해 폐 질환에 대한 진단이 신속하게 이뤄져


정부의 민간 주도형 공공사업 내용이 확정되는 시기에 맞춰 양사는 이번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 서비스가 공공보건의료 영역에 적용되면 폐 질환에 대한 분석이 15초 내로 빠르게 이뤄지게 됩니다. 이를 통해 의사들은 폐 질환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l 루닛 INSIGHT 흉부 방사선 촬영용 노들 탐지 (출처: https://lunit.io/product/#INSIGHT-CXR-Nodule)


LG CNS 정운열 상무는 “현재 양사의 기술력은 이번 사업을 바로 시작할 수 있는 단계”라며, “30년간 축적한 공공분야 IT 사업역량을 바탕으로 더 나은 공공보건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루닛 서범석 대표이사는 “양사의 협력을 통해 의료 전문 인력의 부담이 큰 곳에 의료 AI가 활용되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확대되도록 힘쓰겠다.”라고 밝혔습니다.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