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Solutions

반복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RPA 1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사용자 PC 상에서 이뤄지는 단순 반복 업무를 미리 정해진 Workflow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하게 해 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이메일 첨부파일 열기, 온라인 양식 작성, 데이터 기록•재입력 등 사람의 행동을 흉내 내어 다른 업무들을 수행하는 즉,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RPA 등장 배경 및 전망

RPA 개념을 가장 먼저 도입한 건 인건비 중심의 On/Offshore BPO 시장입니다. 초기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시장은 On site 내 Back office 인력 대비 Offshore BPO의 비용 절감률이 60~70%로 매우 커서 인도, 중국, 동남아로의 offshore BPO 사업이 활성화되었습니다. 하지만 각 Offshore 국가의 인건비가 지속해서 오르고, 비용 절감 요소가 줄어들면서 인력 중심의 BPO 사업 수익성에 한계가 오기 시작했고, 이를 극복하려는 방안으로 RPA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영국 기업인 블루 프리즘(Blue Prism)은 2001년 ‘인간 근로자와 같은 방식으로 같은 시스템 제어에 대해 훈련을 받아 실제 인간의 작업을 모사’하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매크로나 BPM과는 다른 개념의 소프트웨어로, 별도의 IT 자원 없이 소프트웨어 로봇을 학습시켜 사용하는 방식인 최초의 RPA 솔루션입니다.


은행의 Back office와 고객 대응 분야, 보험사의 고객 및 계약관리, 위험관리 등 금융권에서 RPA를 활발히 적용하면서 20~30%의 비용 절감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RPA는 금융 분야의 비중이 가장 크지만,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 중이며, 재무•회계, HR, 고객 관리 등 전 산업 공통인 경영지원 분야의 활용도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HfS 리서치(HfS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RPA 시장은 2016년 약 2억 7,100억 달러 규모에서 2022년에는 12억 2,40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기반 기술들이 기업의 내부 업무에 활용되는 과정에서, RPA도 인공지능 기술의 하나로 인간의 노동을 디지털 노동(Digital Labor)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개념으로 많은 CIO의 관심을 사고 있는데요.


제조 영역에서는 공장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에 보급하면서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서비스 영역에서는 RPA가 도입되면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단순 업무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노동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RPA 솔루션이란?

RPA 솔루션은 Stand-Alone 형태로, IT Infra 변화 없이 현재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예: ERP, 엑셀 등) 기반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l 그림1. RPA 동작 원리



기존 시스템 구축은 분석, 설계, 구축, 이행에 따른 개발 방법에 따라 수행되지만, RPA는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도록 설정되어 빠르게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데요. 업무량 변화에 따라 유연한 배치와 대응이 가능하고, 기존 업무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도입과 적용 모두 기존 시스템 구축보다 쉽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로봇은 사람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24시간*365일 쉬지 않고 일할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업무가 가능합니다.


RPA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mputer coded SW NOT Real tangible robot: 실제 로봇이 사람을 대신해서 업무를 보는 것이 아닌 사람이 하는 인지적인 일을 대신해 주는 개념의 자동화 소프트웨어

● 사용자 컴퓨터 화면 상의 작업 흐름 모방: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동작(Interaction)을 녹화하고 이를 자동화함. 사용자의 처리 방식과 동일하게 애플리케이션의 User Interface를 작동시킴

● Cross-functional and cross–application 간 작업 수행: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으며 어떠한 애플리케이션과도 함께 사용 가능함. 자동화 스크립트와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Central Repository를 사용함

● 반복적이고 정해진 규칙으로 프로세스 자동화 가능: 동적인 Decision Point•분기점과 순환 반복 고리를 가진 Workflow를 구성, 자동화 스크립트의 재사용 가능


l 그림2. RPA 활용도


RPA 적용을 위해 대상 업무를 찾고 이에 대한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선정 기준이 필요한데요.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업무 적합도(Suitability): 반복적(예: 매일, 주 2~3회), 대량 업무(예: 처리 건수 100건, 처리시간 1시간 이상), Digital data(예: Excel, PDF, 시스템 data 등), Rule based activities(예: 시스템이 판단 가능한 로직, 다수의 담당자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 업무처리 Risk•Impact(예: 대금 지급, 대외 분쟁 발생 가능성 업무 배제 등)

● 수행 인원수(Head Count): 업무 처리 인원수, 지원부서(검토•승인) 인원수, 적정 인원수에 대한 기준은 없지만, 많은 인원이 단순 반복 업무를 수행하고 있을수록 RPA 도입으로 의한 인건비 절감이 큼

ROI: Cost(RPA license, 구축 비용, 교육 비용, 에러 비용) 대비 Savings(감소한 인건비, 감소한 업무 시간)


다음으로 RPA를 전담하는 조직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략 & 관리: RPA 적용 기준 수립 및 적용 업무 선정

● 변화 관리: RPA 조직 변경 관리, 프로세스•정책 변경에 따른 구성원 변화 관리 실시

● 지식 관리: RPA 교육, RPA 지식 보관•전파•공유, RPA 지식관리 Workflow 작성 및 운영

● 로보틱스 기준: RPA 자동화 기준 선정, 프로세스 고도화 지속

● 기술 아키텍처: RPA 자동화 기술 요구 사항, RPA 기술 평가 및 선정

● 로봇 배치: RPA 기술 설계, RPA 매뉴얼 작성, 로봇 배치 및 스케줄 관리, 유지 보수



 RPA 적용 사례

① 금융 산업 적용 사례
금융 산업의 경우 다수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작업, 단순한 정보 입력과 대사 작업 등의 쉽고 반복적인 작업에서 RPA 적용 사례가 많습니다. 

은행의 경우 비대면 대출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오히려 필요 서류를 검토하고 이를 검증하는 후선 업무를 수행하는 상담 및 사후 관리 인력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험사에서도 보상 신청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고객의 계약 정보와 비교하는 단순 업무가 RPA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카드는 가맹점 신규 등록을 위한 별도의 부서를 운영해 많은 인원을 정보입력 업무에 투입하고 있는데, RPA를 통해 비용 절감 및 업무 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직원 업무 만족도 제고 및 오류 감소를 통해 품질 개선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l 그림3. 금융 산업 적용 사례

 제조 산업 적용 사례

제조 산업은 이제 막 RPA 적용을 검토 중이며, 많은 기업이 도입을 위한 PoC를 거쳐 일부 업무에 RPA를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에 적용 가능한 업무는 Value Chain 상 아래와 같은 업무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l 그림4. 금융 산업 적용 사례


 RPA 시장 동향

RPA 시장은 RPA 소프트웨어와 RPA 서비스로 구분됩니다.

RPA 소프트웨어 시장은 RPA 솔루션 플랫폼을 라이선스 형태(연간 라이선스)로 판매하는 시장입니다. 대부분의 RPA 업체들은 RPA 개발 플랫폼을 만들어 교육을 이수한 개발자들이 자사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RPA를 개발•구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RPA 업체 일부는 RPA 관련 서비스 (컨설팅 및 설계•구축)도 제공하지만 대부분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공급자 역할만 수행하고 있습니다.


RPA 서비스 시장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업이 RPA 솔루션을 도입하기 전에 어떤 업무를 RPA로 대체할 것인지 프로세스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RPA 도입에 따른 ROI 분석이 필요합니다.


RPA 솔루션을 도입한 후에는 기존 인력에 대한 변화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유지 보수 서비스가 필요한데요. 이러한 영역이 RPA 서비스 시장입니다. 글로벌 컨설팅사들은 RPA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Process Innovation Tool로 RPA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소프트웨어 RPA에 대한 개념과 사례 그리고 RPA 시장은 어떻게 나뉘는지 알아봤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RPA 국내외 업체에는 무엇이 있는지 동향에 대한 내용과 LG CNS의 RPA 관련 솔루션 및 개발 운영되고 있는 RPA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글 l LG CNS RPA 플랫폼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