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NS Story

LG CNS, 글로벌 TOP5 ESS 사업자 선정

LG CNS가 최근 미국의 대표 경제 전문매체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이하 블룸버그)’에서 발간한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 기업 순위 보고서에서 글로벌 TOP5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전 세계 ESS 기업 중 상위 16개를 선정,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5년간의 ESS 구축 실적을 평가했는데요. 평가 결과 LG CNS는 일본 기업을 제치고 아시아 1위를 기록했으며, TOP10 안에 국내 기업으로는 LG CNS가 유일합니다.


l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 선정 글로벌 TOP10 ESS 기업


1위를 기록한 이탈리아 업체 ‘니덱(Nidec ASI)’을 비롯해, 2위는 글로벌 최대 ESS 업체인 AES에너지스토리와 독일의 지멘스가 합작한 ‘플루언스(Fluence)’, 3위는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Tesla)’, 4위 미국의 ‘레즈아메리카(RES)’, 5위 ‘LG CNS’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6위를 차지한 북미 ESS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그린스미스(Greensmith Energy)’를 제쳤다는데 그 의미가 큽니다.


국내 ESS 기업들은 국내 실적에만 국한되어 있어 평가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LG CNS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 대형 ESS 실적을 높게 평가받아 TOP5에 올랐습니다.



블룸버그는 LG CNS는 LG전자의 전력전환장치(PCS), LG화학의 배터리 기술과 협력해 신뢰성이 높고, 장기적인 사업과 리스크가 많은 사업에도 안정적인 구축이 가능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LG CNS는 지난 2016년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네비건트 리서치(Navigant Reserch) 조사에서도 ESS 통합(SI) 분야 경쟁력에서 아시아 1위, 글로벌 7위로 평가받은 바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세계 시장 규모가 2020년 150억 달러, 2025년에는 292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을 기반으로 전 영역에 걸친 서비스 제공


글로벌 ESS 시장은 배터리, 전력전환장치(PCS)로 구성된 하드웨어 영역보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과 시스템 통합(SI) 등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분야로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발표한 블룸버그 보고서에도 나타나듯이 상위에 랭크된 대부분 기업이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과 시스템 통합(SI) 위주로 ESS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LG CNS 역시 IT 전문회사의 역량을 살려 자체 개발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기술력 기반으로 컨설팅•설계•시공-운영까지 ESS 사업 전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l 괌 ESS 구축 현장 방문한 LG CNS 김영섭 대표이사


LG CNS의 괌 ESS 사업도 국내 기업이 대규모 ESS를 기획, 설계, 시공, 운영에 이르는 모든 서비스를 해외에 턴키(Turn-Key)로 제공하는 첫 사례입니다. LG CNS는 지난해 5월 미국령 괌에 국내 기업 중  수출로는 최대 규모인 40MW급의 ESS 시스템을 수출했습니다. 지난해 9월에는 한국전력과의 컨소시엄으로 2,300억의 대규모 괌 태양광+ESS 2차 사업도 수주한 바 있습니다.


 명실상부한 국내 1위 ESS 사업자


LG CNS는 2013년부터 ESS 사업을 시작한 이래 총 5년간 95MW/133MWh의 ESS를 구축해 명실상부한 국내 1위 ESS 사업자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l 제주 가시리 ESS 구축 풍력단지 전경


LG CNS는 LG화학 익산•오창(1~3차)•오송•청주•여수 공장 및 대전기술원 ESS, LG하우시스 옥산공장, 고려그룹, 아세아시멘트, 최근 수주한 넥센타이어 양산 공장 ESS 등 다양한 현장에 산업용 전력 저장과 관리를 위한 ESS 구축 실적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국내 발전용 ESS로는 한국전력 주파수 조정 1~3차, 제주 동복•가시리 풍력발전소용 ESS도 성공적으로 구축 완료했습니다.


LG CNS 에너지신산업추진단장 하태석 상무는 ‘ESS를 포함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력 바탕으로 해외 에너지 사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 밝혔습니다.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