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한국조폐공사의 ‘블록체인 오픈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했습니다.
이번 사업은 공공분야 국내 최초 블록체인 플랫폼이자 LG CNS가 지난 5월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Monachain) 출시 후 수주한 첫 프로젝트인데요. 이번 사업 수주에 대해 LG CNS 최고기술책임자(CTO) 현신균 전무는 ‘이번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사업은 ‘거래 중심’으로 지역화폐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이 기존 사업과 차별화된 점이다.’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기존 블록체인 사업은 대부분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한 ‘인증 중심’이었던 것입니다.
LG CNS는 6월 중 한국조폐공사와 본 계약을 맺고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에 착수하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영역에서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계획입니다.
LG CNS는 이번 플랫폼을 클라우드로 구축합니다. 지난 3월 말 LG CNS는 ‘LG G-Cloud’로 IT 서비스 기업 중 최초로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획득한 바 있는데요. 이에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인 ‘LG G-Cloud’에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을 결합한 모델로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l LG CNS•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 체계도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블록체인 플랫폼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지역화폐, 모바일 인증)를 타 참여 기관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
●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다양한 참여자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
클라우드에서 플랫폼을 구축할 경우 확장성이 높습니다. 다른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대학교 등도 ‘LG G-Cloud’에만 접속하면 이 플랫폼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각 기관이 원하는 맞춤형 서비스 개발도 가능합니다.
한국조폐공사와 LG CNS는 이번 플랫폼 구축을 통해 공공부문에서의 블록체인 생태계를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
이번 오픈 플랫폼은 모나체인을 기반으로 지역화폐 서비스, 모바일 인증 서비스, 문서 인증 서비스 등 3대 핵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지역화폐 서비스’는 개인 휴대기기에 디지털 지갑을 생성하고, 이 지갑에 디지털 상품권을 제공합니다. 공공영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청년 수당, 양육수당 등을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특히 모나체인은 국내 최초 ‘멀티 디지털 화폐 플랫폼’입니다.
하나의 플랫폼이지만 이 플랫폼 안에서 다양한 커뮤니티를 위해 복수의 디지털 상품권 등을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플랫폼 구축 없이도 지자체, 대학교 등과 연계를 통해 각각의 커뮤니티의 용도와 목적에 맞는 디지털 상품권을 서비스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바일 인증 서비스’를 통해서는 개인 휴대기기에서 개인식별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혹은 지문 등 생체 정보만으로도 모바일 본인확인이 가능하며, 디지털 신분증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허가형(Permissioned)으로 운영되는 기업형 블록체인은 인증을 통해 참여자들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증은 핵심이자 기본 기능입니다.
‘문서 인증 서비스’로는 문서의 진본성(Authenticity)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종이 문서 위주의 업무처리가 많은 현실을 감안했을 때 관리자 입장에서는 문서작성, 등록, 전송, 폐기 등 문서의 이력 관리 과정을 위변조 없이 관리할 수 있습니다. LG CNS는 한국조폐공사와 함께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문서 인증 서비스의 범위를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LG CNS는 앵커링(Anchoring)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앵커링은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의 데이터를 이번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플랫폼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앵커링은 현재 블록체인 업계에서 논의가 활발한 데이터의 진본성(Authenticity)을 보증하는 방식입니다.
앵커링을 통해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 참여자는 자신의 블록체인으로 일차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차적으로는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정보는 암호화된 방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보안성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LG CNS는 한국조폐공사의 니즈를 반영한 앵커링 기능 적용으로 이번 플랫폼을 블록체인 ‘데이터 보증의 공공 허브’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LG CNS 금융/공공사업부 이재성 전무는 ‘서울시 교통카드, 정부24, 전자여권 등 LG CNS는 지난 30년간 다양한 공공영역에서 축적한 IT 서비스 경험이 강점’이라며, ‘이번 한국조폐공사 사업 수주를 계기로 모나체인을 통해 차별화된 공공서비스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글 l LG CNS 홍보팀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CN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 모든 IoT 기기는 ‘인피오티(INFioT)’로 통한다. (0) | 2018.07.02 |
---|---|
LG CNS, 글로벌 TOP5 ESS 사업자 선정 (0) | 2018.06.12 |
LG CNS IT 콘서트 블로그 독자 초청 스마트팩토리 세미나 후기 (0) | 2018.06.04 |
LG CNS, 일본 야마구치현 미네市 56MW급 태양광 발전소 준공 (1) | 2018.06.04 |
LG CNS,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Monachain)’ 출시 (0) | 2018.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