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의 스마트시트는 현대화된 도시, 지속할 수 있는 도시 등 목적물로 바라보는 견해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수단과 과정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4차 산업혁명을 담는 플랫폼으로 보는 개념으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시티는 공급자 중심의 닫힌 생태계가 아니라, 수요자 중심, 시민참여 중심의 열린 생태계의 플랫폼이며 교통, 에너지 등 각 도시의 각 분야가 수직적으로 각각 구축된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평적 통합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근 '스마트 시민'이란 용어가 스마트시티 사업의 이슈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스마트시티가 도시 인프라 건설을 통해 일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참여해 상호 양방향으로 운영되는 도시의 지속 가능한 모델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도시 공간을 단순히 살아가기 위한 물리적인 공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도시민이 구성원으로서 주인의식을 가지고 참여하는 것이 스마트시티의 지향점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도시가 변화하더라도 결국 스마트시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서비스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체로서의 사람입니다. 스마트시티에서 살아가는 사람 즉, 스마트시티의 시민은 스마트시티 기술을 이해하기보다는 사용법을 알고 즐기며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기술에 익숙해진 사람들이며 스마트시티의 대상입니다. 디지털이 익숙한 스마트시티 사용자는 끊임없이 도시 공간과 상호작용하며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과 네트워크성 등에 따라 도시와 함께 진화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최근 유럽 등지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리빙랩(Living Lab)'은 말 그대로 살아있는 실험실, 일상생활의 실험실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문제의 대상이 되는 공간에서 살아가는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주체를 통해 문제점이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시민이 주체가 되어 도시를 함께 만들어 가는 개념으로서 리빙랩은 도시민이 자신을 구성원이자 주인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향과도 일치하는 개념입니다.
유럽의 경우 기존의 도시를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점층적으로 ‘스마트하게’ 거듭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추진 중입니다. 예를 들면 영국의 밀턴 킨즈, 스웨덴의 스톡홀름,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 등이 대표적인데요. 대체로 재난에 대비하거나, IoT를 이용하여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적절히 보호하거나 이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스마트 시민(smart citizens)으로 육성하기 위해 데이터의 이해 및 응용을 정규 교육 커리큘럼에 포함하는 것 등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대로 유럽에서는 스마트 시민이 도시의 공동창작자(Co-Creator), 리빙랩(Living Lab), 팹랩(Fablab), 해커스페이스(Hackerspace) 등 ‘디지털 공공 공작소’의 확산과 유사한 개념으로 발전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시티란 ‘소수의 전문가에 의존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정부의 다양한 분야의 부처들, 인프라 운영자, 서비스 제공자, 학계, 시민 간의 수평적이고 통합적인 연계를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므로 스마트 시민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죠.
l 스마트 시민 키트
암스테르담의 실험은 단순히 시민들에게 민원을 받는 수준이 아니라 이들은 도시 전체를 거대한 '실험실'로 만들고 있지요. 암스테르담시에서는 ASC라는 스마트 전담기구를 중심으로 암스테르담시 스마트 시티가 운영되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암스테르담시는 편리성과 실용성을 최우선으로 스마트시티를 조성해 나간다는 목표 아래 지난 2009년 ASC라는 스마트시티 전담기구 운영하고 있는데, 정부뿐 아니라 기업, 학교, 지역주민들이 참여해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실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한 지역에서는 시민이 온라인상에 올린 아이디어에 ‘좋아요’를 100개 이상 받으면 지자체가 실행 여부를 공식적으로 논의하고 프로젝트화 하고 있습니다.
2018년 1월까지 시민들이 낸 200개가 넘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이 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진행되고 있고, 이 중 상당수가 민간이 참여하는 ‘해커톤 대회를 통해 탄생하고 있는데요. 작년 4월 진행된 ‘마크 여 스타트(Maak Je Stad)’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건강한 도시 만들기’를 주제로 해커톤 대회를 열자 시민, 사회적 기업 등 460개 팀이 참여했는데, 이 중 36개 프로젝트가 실제 사업으로 추진 중입니다. 현재 네덜란드에 약 50개의 리빙랩도 진행 중에 있는데요. 리빙랩에 관해서는 다음에 좀 더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 빗물관리시스템 Smart Roof 2.0 (Blue Green Roof)
이 프로젝트는 단지 내 건물 옥상에 빗물관리시스템을 설치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심은 건물 옥상에 50개 이상의 센서를 설치하고 저장한 빗물을 이용해 건물의 온도를 낮추거나 식수 오염을 막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l 빗물관리시스템 (출처: http://www.permavoid.co.uk/solutions/blue-green-roofs/)
l 카고호퍼 (출처: https://www.autoblog.com/photos/cargohopper/#slide-111823)
우리나라 정부는 스마트시티 사업에서 암스테르담과 같이 시민들의 역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스마트 시민 전략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민 전략은 기술의 최종 수요자인 시민이 문제 발굴부터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 시제품 평가와 업그레이드 등 혁신의 전 과정을 전문가와 함께 수행하도록 전략을 수립하는 것인데요. 리빙랩 등은 이를 표현하는 새로운 연구개발(R&D) 방법론입니다.
우리나라의 리빙랩은 최근 성대골의 에너지 전환 리빙랩이나 북촌 IoT 리빙랩 등을 수행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는데요. 그동안 실험실이 폐쇄된 공간이었다면 리빙랩은 우리가 실제 사는 공간에서 기술을 실증하는 개념이므로 지역의 주체들을 모여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고 끊임없는 피드백을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것입니다.
실제로 핀란드 헬싱키의 쇠락한 공업지대였던 칼라사타마는 주민과 공무원, 학자, 시민단체 활동가 등으로 구성된 '혁신가 클럽'을 앞세워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 전기차•스마트 그리드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시티로 변모했으며, 스웨덴•프랑스•스페인 등 다양한 나라에서 리빙랩을 도시 재건의 핵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가 4차 산업혁명에서 주요한 기술이며 우리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임은 명확합니다. 그러나 정부가 스마트시티의 틀은 마련해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내용을 채우고, 서비스를 도출하면서 점차 스마트시티를 이루어가는 것이라는 것을 유럽의 사례를 통해 잘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 높은 수준의 스마트시티를 만들어 가기 위해 시민들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고려대학교에서 컴퓨터학과에서 인공지능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Univ. of Massachusetts에서 post-doc을 했으며 Purdue대학교의 교환교수로 근무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인공지능, 플랫폼, IoT, 스마트 시티, 전자정부 등 인공지능의 기본연구와 융복합 연구 등이다. 현재 지능형 융복합 스마트시티 플랫폼과 지능형 빅데이터 표준화 기술, 머신러닝에 대한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IT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소스 계의 ‘MS 오피스’는 무엇이 있을까? (1) | 2018.03.08 |
---|---|
로봇 기술의 미래, 군집 로봇 (0) | 2018.03.07 |
각국의 도시와 기업은 왜 스마트시티에 집중할까? (0) | 2018.03.05 |
아프리카의 핀테크는 왜 주목받을까? (0) | 2018.02.28 |
CES 2018, 인공지능 하드웨어가 중요해진다. (0) | 201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