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속에선 홍채가 신분증 역할을 하는 2054년의 미국 사회를 그렸습니다. 주인공이 거리를 지나면, 거리 곳곳에 설치된 홍채 인식기가 개인을 식별해 신원을 파악하고 홍채 인식기를 통해 건물 출입이 허락됩니다. 홍채 정보만 확보하면 누가, 언제, 어디에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죠.
이처럼 영화 속에나 등장하던 생체 인증 기술이 이제 우리 실생활에 들어왔습니다. 생체인증기술은 인간의 고유한 신체적, 행동적 특징에 대한 생체정보를 자동화된 장치로 추출해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생체정보는 크게 신체적 정보와 행동적 정보 특징으로 분류합니다.
신체적 생체정보는 지문, 홍채, 얼굴, 정맥 등이 대표적입니다. 행동적 생체정보로는 음성, 서명 등이 있습니다. 생체인증기술의 대표적인 장점은 별도의 보관이나 암기가 필요 없고, 분실 우려가 없으며, 양도나 위조가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현재 생체인증 수단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지문’은 입력장치를 통해 지문을 입력받아 지문의 패턴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본인임을 확인합니다. 편리하고 안전할 뿐 아니라 위조가 불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홍채’는 어떨까요. 눈동자의 홍채 패턴을 스캔해 개인을 식별하는 방법입니다. 망막 모세혈관 분포 패턴을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또 홍채 무늬, 형태, 색깔을 분석합니다. 같은 홍채 패턴을 가질 확률이 매우 낮아 보안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얼굴’은 얼굴 요소의 특징을 분석합니다. 눈, 코, 입 거리와 얼굴의 열상, 3차원 얼굴 영상을 분석합니다. 비접촉식이기 때문에 위생적이면서 시스템 비용이 저렴한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빛의 세기, 촬영 각도, 자세 등으로 인한 인식률 저하는 아직 개선할 점입니다. ‘정맥’은 혈관 패턴의 특징을 파악해 비교하고 본인임을 확인합니다. 편리하고 복제가 불가능하지만 구축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행동적 특징으로 분류되는 ‘음성’은 음성 특징을 데이터베이스(DB)와 대조해 본인임을 인증합니다. 전화나 인터넷으로 원격지에서 이용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 다만, 녹음을 통한 도용 가능성이 있고, 목소리 상태에 따른 오인식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명’은 펜의 움직임, 속도, 압력 등 서명 과정의 특징을 분석합니다.
손바닥 정맥 정보를 사전에 등록할 경우 결제 시 전용 단말기에 손바닥만 갖다 대면 카드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입니다. 세븐일레븐, 롯데마트 등 주요 유통 매장에도 핸드페이 전용 단말기 설치를 확대 중입니다.
비대면 실명확인이나 기존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한 지문, 홍채, 정맥 등의 생체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출시는 앞으로도 러시를 이룰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이러한 생체정보를 응용한 새로운 서비스도 기대됩니다.
생체인증기술이 급부상한 데에는 금융사기가 날로 진보하는 탓도 있습니다. 최근 실물카드 복제가 어려워지자 온라인 결제 사기가 급격히 늘고 있는데요. 영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한 해 300만 건 금융거래사기 중 절반 이상이 온라인에서 벌어졌습니다. 금융사기 수법이 온라인화되자, 이를 근절하기 위해 각국 IT기업과 금융권이 생체인증 결합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죠.
다만, 생체인증기술의 빠른 보편화도 좋지만, 개인의 생체정보는 비밀번호와 같이 쉽게 변경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안전한 보관 등을 위한 금융회사의 지속적인 노력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 생체정보 재사용 방지를 위한 대비도 필요합니다. 생체정보를 이용한 본인확인 도입 시,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유출된 정보를 재사용 할 수 없도록 방지 대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글 l 김지혜 l 전자신문 금융 IT 전문기자 (저서: 로보 파이낸스가 만드는 미래 금융 지도)
[연재 글 보기]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LG CNS 블로그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IT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현실의 진화’ 더 커진 현실감, 로케이션 VR은 무엇일까? (1) | 2018.01.24 |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전개 모델: Open Innovation (1) | 2018.01.22 |
2018년 주목해야 할 3가지 웨어러블 테크 (0) | 2018.01.18 |
꿈의 나노물질 '그래핀' 전자 피부 시대 앞당긴다. (0) | 2018.01.17 |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물류 로봇이 바꾸는 세상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