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세계와 컴퓨팅 세계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은 서로 떨어져 있던 세계 곳곳의 컴퓨터들을 연결해 주었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디지털 형태로 대화하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모바일 시대가 열리면서 사람들은 디지털 세계와 현실 세계를 끊임없이 연결하는 접점을 갖게 되었는데요. 항상 들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길가에서 택시를 기다릴 필요 없이 내가 있는 곳으로 바로 차를 부를 수 있고, 미리 전단지를 챙기지 않아도 근처 맛집 쿠폰을 받을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IT 산업의 흐름은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접점으로 삼는 것을 넘어 현실과 디지털 세계의 혼합과 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가상현실(VR) 또는 증강현실(AR)에 대한 관심은 현실과 디지털 세계가 합쳐지는 큰 흐름을 실제 기술과 제품, 서비스와 콘텐츠로 구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l 디지털과 현실 세계를 결합하는 AR이 새로운 컴퓨팅 환경으로 부상하고 있다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홈페이지)
IT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 역시 최근 분주합니다. 매년 4~6월은 페이스북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애플이 잇달아 자체 개발자 행사를 열어 새로운 서비스와 제품, 미래 기술의 변화 등을 제시하는 시기인데, 올해에는 약속이나 한 듯 VR과 AR에 대해 좀 더 진전된 이야기를 들고 나왔습니다. 특히, 현실 세계 위에 디지털 정보나 콘텐츠를 올려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AR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AR은 별도의 고성능 기기가 필요한 VR보다 앞서 시장에 안착하며 현실과 디지털의 만남을 앞당길 것으로 전망됩니다. 각사의 개발자 행사에서 나온 발표들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떻게 AR을 풀어나갈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l 실제 커피잔에 페이스북 카메라 이펙트를 적용해 필터를 적용한 모습(출처: 페이스북 홈페이지)
친구들과의 날 것 그대로의 순간을 담은 사진 공유를 앞세워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로 우뚝 선 페이스북은 이제 AR 기술을 담은 카메라로 사용자들을 붙잡아 두려 하고 있습니다. 셀카에 우스꽝스러운 효과를 입히는 '엔터테인먼트형 AR'은 이미 스냅챗과 스노우의 성공으로 그 가능성이 검증되었습니다.
페이스북은 카메라를 접점으로 디지털 세계의 콘텐츠를 현실로, 현실을 디지털 세계로 끌어들이려 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그들은 현실 세계를 페이스북의 확장판으로 만들고 싶어 합니다. 세계 모든 사람을 연결하는 커뮤니티의 꿈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것입니다.
l 페이스북 카메라 이펙트를 적용해 사람을 촬영한 모습(출처: 페이스북 홈페이지)
페이스북은 카메라 필터를 직접 만드는 도구를 제공하고, 개발자들이 만든 필터를 공유해 누구나 함께 쓸 수 있게 할 계획입니다. 또 카메라 필터 효과를 페이스북뿐 아니라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자사의 다른 서비스로도 확대, 물량 공세를 벌일 예정입니다.
l 마이크로소프트의 MR 헤드셋 홀로렌즈(출처: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
지난 2년간 꾸준히 MR 기술을 개발해 온 MS는 지난 5월 빌드 2017에서 홀로렌즈로 인기 공연 '태양의 서커스'를 기획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제작진이 직접 나와 홀로렌즈를 낀 채 무대의 크기와 모양을 검토하고, 무대 미술과 디자인 시안을 비교하며 원하는 대로 크기와 색상, 외양을 변경했습니다. 가상 배우들의 공연 장면을 무대 위에 삽입해 동선을 살펴보기도 했습니다.
l 태양의 서커스 제작진이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행사에 참여, 홀로렌즈로 무대를 기획하는 모습
(출처: CNET 홈페이지)
l 구글의 인공지능 AR 서비스 구글 렌즈 실행 모습. 카메라에 비친 가게 정보를 찾아준다
(출처: 구글 공식 블로그)
구글 렌즈는 정보 검색 및 제공을 본업으로 하는 구글의 색깔을 잘 보여줍니다. 과거 구글이 선보였던 스마트폰 앱 '구글 고글'도 생각나게 합니다. 구글 고글 역시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은 사진 안의 글자나 이미지 등을 인식해 관련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구글 렌즈는 여기에 인공지능을 결합해 훨씬 강력하고 정교한 정보와 서비스를 전해줍니다. 구글은 인공지능에 자사 사진 서비스 '구글 포토'에 올라온 수많은 사진 이미지를 기계학습 방식으로 학습시켰습니다. 사진과 동영상 속 사물을 인식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의 대가인데요. 구글이 그간 검색 사업을 하며 쌓아온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인공지능 기술을 덧붙여 구글 렌즈는 모든 정보를, 잘 정리해서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준다는 구글의 미션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이 외에도 I/O에서 구글은 AR 플랫폼 '탱고'의 새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GPS 신호가 닿지 않는 실내 공간을 컴퓨터 비전으로 학습, 스마트폰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VPS(Vision Positioning System)을 선보였는데요. 실내 공간에서 현실의 사물에 대한 디지털 정보를 결합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l 애플은 외부 개발자들이 애플 기기로 이용할 수 있는 AR 앱을 개발하도록 AR키트를 제공한다.
(출처: 애플 홈페이지)
운영체계(OS) 차원에서도 VR 기능을 지원합니다. 애플은 맥 OS를 '하이 시에라'로 업데이트하면서 그래픽처리유닛(GPU)을 지원하는 '메탈' 기능 역시 '메탈2'로 개선했습니다. VR 콘텐츠까지 무리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그래픽 처리 성능을 높인 것입니다.
애플은 과거 구글이 개발했다 포기한 안경 형태의 AR 기기 개발도 진행 중이라는 외신 보도도 흘러나옵니다. 팀 쿡 애플 CEO 역시 그간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수시로 AR의 잠재력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 왔습니다.
l 주요 글로벌 IT 기업들이 최근 선보인 AR 전략
'IT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경쟁의 핵심을 바꾸다 (0) | 2017.06.21 |
---|---|
‘오픈소스계의 대부’ 구글은 왜 오픈소스 기술을 공개할까? (0) | 2017.06.20 |
디자인씽킹으로 금융서비스를 혁신하다 (0) | 2017.06.13 |
인공지능 시대를 여는 열쇠, GPU는 무엇일까? (0) | 2017.06.12 |
IT 강국이 만들어 나갈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미래 (0) | 2017.06.07 |